서울 가구 47.9%, "빚있다…원인은 주택.교육문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시내 가구의 절반 정도가 주택과 교육비 부담등으로 '빚'을 지고 있고
앞으로 "강북으로 이사하고 싶다"는 시민이 5명 중 2명을 넘으며 시민 4명중 3명 정도는 자신을 '중간층'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서울시는 11일 지난해 10월 한달간 시내 2만 가구의 15세 이상 4만8천215명과 외국인 1천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07 서울서베이 사회상 조사' 결과를 이 같이 발표했다.
이 조사에서 "현재 부채를 지고 있다"는 가구는 전체의 47.9%에 달하고 잇으며 부채의 주된 원인은 주택 구입 및 임차(64.1%), 교육(11.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시민들이 희망하는 주택 거주 면적은 평균 105㎡(31.8평)였으며 앞으로 5년 이내에 이사 계획이 있는 가구는 39%로 전년 조사때보다 6%포인트 감소했다.
이사할 때의 희망지역은 서울 강북 42.2%, 강남 25.6%, 수도권 18.6% 등으로 강북지역의 선호도가 크게 높아졌다.
시민들의 가치관 조사에서는 '정치.경제.사회적 계층의식'에 대해 '중간층'이라고 답한 비율이 76.6%로, '하위층' 19.7%, '상위층' 3.7%에 비해 월등히 많았다.
또 62.9%는 외국인과의 결혼에 대해 거부감을 갖고 있었으며 57.0%는 "좋은 직장이 나타날 경우 언제든지 이직하겠다"고 했다.
33.1%는 "집을 마련하기 전이라도 차는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서울의 대중교통에 대한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5.78점으로 2003년 이후 상승세가 이어졌으며 문화환경 만족도도 2006년 20.1%에서 27.3%로 상승했다.
시민들이 느끼는 행복지수도 10점 만점에 6.55점으로 전년보다 0.13점 높아졌으며 "10년 후에도 서울에 거주하고 싶다"는 시민이 3명중 2명꼴인 66.6%에 달했다.
서울 거주 외국인들은 47.4%가 "서울의 물가 수준이 높다"고 하면서도 주거환경(6.79점)이나 도시안전(6.61점) 분야에서 대체로 만족해 했다.
그러나 의사소통(5.39점)이나 행정서비스 외국어 사용(5.05점) 등은 낮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디지털뉴스팀 newsinfo@hankyung.com
앞으로 "강북으로 이사하고 싶다"는 시민이 5명 중 2명을 넘으며 시민 4명중 3명 정도는 자신을 '중간층'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서울시는 11일 지난해 10월 한달간 시내 2만 가구의 15세 이상 4만8천215명과 외국인 1천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07 서울서베이 사회상 조사' 결과를 이 같이 발표했다.
이 조사에서 "현재 부채를 지고 있다"는 가구는 전체의 47.9%에 달하고 잇으며 부채의 주된 원인은 주택 구입 및 임차(64.1%), 교육(11.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시민들이 희망하는 주택 거주 면적은 평균 105㎡(31.8평)였으며 앞으로 5년 이내에 이사 계획이 있는 가구는 39%로 전년 조사때보다 6%포인트 감소했다.
이사할 때의 희망지역은 서울 강북 42.2%, 강남 25.6%, 수도권 18.6% 등으로 강북지역의 선호도가 크게 높아졌다.
시민들의 가치관 조사에서는 '정치.경제.사회적 계층의식'에 대해 '중간층'이라고 답한 비율이 76.6%로, '하위층' 19.7%, '상위층' 3.7%에 비해 월등히 많았다.
또 62.9%는 외국인과의 결혼에 대해 거부감을 갖고 있었으며 57.0%는 "좋은 직장이 나타날 경우 언제든지 이직하겠다"고 했다.
33.1%는 "집을 마련하기 전이라도 차는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서울의 대중교통에 대한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5.78점으로 2003년 이후 상승세가 이어졌으며 문화환경 만족도도 2006년 20.1%에서 27.3%로 상승했다.
시민들이 느끼는 행복지수도 10점 만점에 6.55점으로 전년보다 0.13점 높아졌으며 "10년 후에도 서울에 거주하고 싶다"는 시민이 3명중 2명꼴인 66.6%에 달했다.
서울 거주 외국인들은 47.4%가 "서울의 물가 수준이 높다"고 하면서도 주거환경(6.79점)이나 도시안전(6.61점) 분야에서 대체로 만족해 했다.
그러나 의사소통(5.39점)이나 행정서비스 외국어 사용(5.05점) 등은 낮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디지털뉴스팀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