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兆 규모 '한국판 테마섹' 만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가 보유한 공기업 지분을 통합 관리하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정부투자 지주회사'가 조만간 국내에서 탄생할 전망이다.
'한국판 테마섹 프로젝트'로 추진되고 있는 이 방안은 공기업들의 경영 효율을 높이고 글로벌 투자에도 적극 나서겠다는 구상으로 자본금 규모가 100조원을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테마섹은 싱가포르 재무부가 100% 투자한 공기업 관리회사로 전 세계를 대상으로 과감한 투자에 나서고 있다.
11일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 등에 따르면 재정부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정부투자 지주회사 설립 방안'을 마련,관계 부처와 협의하고 있으며 조만간 외부 전문기관에 용역을 맡겨 6월 말까지 세부 계획을 확정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재정부 구상에 따르면 '코리아 테마섹'은 정부가 보유하고 있는 공기업 주식을 모두 넘겨받아 설립된다.
매각 일정이 이미 확정됐거나 민영화 대상으로 분류된 기업들의 지분은 매각 후 현금으로 출자된다.
정부가 지분을 계속 유지해야 하는 한국전력 가스공사 등은 현물로 출자된다.
정부 보유 주식의 가치가 100조원에 육박하고 있는 만큼 싱가포르 테마섹(자기자본 80조원 안팎)보다 훨씬 큰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코리아 테마섹은 산하 공기업들을 직접 관리하면서 현금출자분과 지분 추가 매각을 통해 확보하는 현금,자회사.손자회사로부터 받는 배당금 차입금 등의 자금으로 국내외 주식과 채권 부동산 등에 투자하게 된다.
재정부는 정부의 직접 통제를 받고 있는 공기업들이 민간전문가들이 주도하는 지주회사 체제로 편입되면 경영의 독립성과 효율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재정부는 또 전직 고위 공무원들이 독점하다시피하고 있는 공기업 경영진을 지주회사 설립 후 전원 민간 전문가들로 물갈이하겠다는 복안도 갖고 있다.
재정부 관계자는 "지난 10년 동안 공기업 민영화를 추진해 왔지만 참여정부 들어 '재벌 특혜'니 '국부 유출'이니 하는 주장이 강해지면서 민영화 작업이 중단된 게 사실"이라며 "관리를 민간전문가들에게 맡김으로써 효율성 제고와 국부 창출을 동시에 노리는 큰 그림을 그리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인식/정재형 기자 sskiss@hankyung.com
'한국판 테마섹 프로젝트'로 추진되고 있는 이 방안은 공기업들의 경영 효율을 높이고 글로벌 투자에도 적극 나서겠다는 구상으로 자본금 규모가 100조원을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테마섹은 싱가포르 재무부가 100% 투자한 공기업 관리회사로 전 세계를 대상으로 과감한 투자에 나서고 있다.
11일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 등에 따르면 재정부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정부투자 지주회사 설립 방안'을 마련,관계 부처와 협의하고 있으며 조만간 외부 전문기관에 용역을 맡겨 6월 말까지 세부 계획을 확정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재정부 구상에 따르면 '코리아 테마섹'은 정부가 보유하고 있는 공기업 주식을 모두 넘겨받아 설립된다.
매각 일정이 이미 확정됐거나 민영화 대상으로 분류된 기업들의 지분은 매각 후 현금으로 출자된다.
정부가 지분을 계속 유지해야 하는 한국전력 가스공사 등은 현물로 출자된다.
정부 보유 주식의 가치가 100조원에 육박하고 있는 만큼 싱가포르 테마섹(자기자본 80조원 안팎)보다 훨씬 큰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코리아 테마섹은 산하 공기업들을 직접 관리하면서 현금출자분과 지분 추가 매각을 통해 확보하는 현금,자회사.손자회사로부터 받는 배당금 차입금 등의 자금으로 국내외 주식과 채권 부동산 등에 투자하게 된다.
재정부는 정부의 직접 통제를 받고 있는 공기업들이 민간전문가들이 주도하는 지주회사 체제로 편입되면 경영의 독립성과 효율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재정부는 또 전직 고위 공무원들이 독점하다시피하고 있는 공기업 경영진을 지주회사 설립 후 전원 민간 전문가들로 물갈이하겠다는 복안도 갖고 있다.
재정부 관계자는 "지난 10년 동안 공기업 민영화를 추진해 왔지만 참여정부 들어 '재벌 특혜'니 '국부 유출'이니 하는 주장이 강해지면서 민영화 작업이 중단된 게 사실"이라며 "관리를 민간전문가들에게 맡김으로써 효율성 제고와 국부 창출을 동시에 노리는 큰 그림을 그리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인식/정재형 기자 sskis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