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상선, 중동항로 공략 확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현대상선이 대대적인 항로 개편을 통해 중동시장 공략에 나선다.
현대상선은 최근 물동량이 크게 늘고 있는 극동~중동 항로에서 3개 항로를 확대 개편하고 신규 항로를 연다고 12일 발표했다.
우선 부산,홍콩,두바이 등 극동아시아와 중동 지역의 주요 항로를 연결하는 '한국~중동서비스(KMS)'항로를 확대 개편하고 투입 선박의 크기도 늘릴 계획이다.
기존 KMS 항로에 투입했던 2200 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한 개)급 컨테이너선 5척을 모두 4600 TEU 급으로 교체할 계획이다.
KMS의 기항지는 광양~부산~기륭(대만)~홍콩~얀티안(중국)~싱가포르~포트 켈랑(말레이시아)~두바이~카라치(파키스탄)~싱가포르~홍콩으로 확대해 다음 달 11일 부산항에서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4월 중순에는 중국 닝보,두바이 등에 기항하는'극동~중동서비스(FM1)'항로의 수송량을 늘리고 신규 항로 FM2를 개설키로 했다.
FM2는 매주 정해진 날짜에 난샤(중국)~얀티안(중국)~콜롬보(스리랑카)~제벨 알리(아랍에미리트)~담맘(사우디아라비아)~제벨 알리(아랍에미리트)~반다라바스(이란)~싱가포르~난샤 등지를 기항하게 된다.
현대상선은 또 6월 중순부터 일본의 TSK사와 협력해 운영하고 있는'중동~아시아익스프레스(MAX)'항로의 수송량을 확대키로 했다.
김동민 기자 gmkdm@hankyung.com
현대상선은 최근 물동량이 크게 늘고 있는 극동~중동 항로에서 3개 항로를 확대 개편하고 신규 항로를 연다고 12일 발표했다.
우선 부산,홍콩,두바이 등 극동아시아와 중동 지역의 주요 항로를 연결하는 '한국~중동서비스(KMS)'항로를 확대 개편하고 투입 선박의 크기도 늘릴 계획이다.
기존 KMS 항로에 투입했던 2200 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한 개)급 컨테이너선 5척을 모두 4600 TEU 급으로 교체할 계획이다.
KMS의 기항지는 광양~부산~기륭(대만)~홍콩~얀티안(중국)~싱가포르~포트 켈랑(말레이시아)~두바이~카라치(파키스탄)~싱가포르~홍콩으로 확대해 다음 달 11일 부산항에서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4월 중순에는 중국 닝보,두바이 등에 기항하는'극동~중동서비스(FM1)'항로의 수송량을 늘리고 신규 항로 FM2를 개설키로 했다.
FM2는 매주 정해진 날짜에 난샤(중국)~얀티안(중국)~콜롬보(스리랑카)~제벨 알리(아랍에미리트)~담맘(사우디아라비아)~제벨 알리(아랍에미리트)~반다라바스(이란)~싱가포르~난샤 등지를 기항하게 된다.
현대상선은 또 6월 중순부터 일본의 TSK사와 협력해 운영하고 있는'중동~아시아익스프레스(MAX)'항로의 수송량을 확대키로 했다.
김동민 기자 gmkd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