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가 추진 중인 지분형 분양주택의 투자자금을 유동화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제시돼 지분형 아파트 실현 가능성 논란이 재연될 전망이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지난 1월 말 지분형 분양주택제도 관련 유동화 가능성에 대해 "민간 펀드의 투자자금이 장기간 묶이는 문제를 해소하려면 해당 주택을 자산으로 한 자산담보부증권(ABS)을 발행하는 방식의 자산 유동화가 필요하지만 만기와 현금 흐름 등을 고려할 때 사실상 유동화가 어렵다"는 의견을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경제1분과에 보냈다.

지분형 아파트란 주택의 지분을 쪼개 51%를 갖는 실수요자와 49%를 갖는 투자자로 나눠 분양하는 주택을 말한다.

이 제도가 도입되면 수요자는 실제 가격(분양가)의 절반 값으로 내 집을 마련할 수 있어 이른바 '이명박식 반값 아파트'로 불려왔다.

금융위원회는 이에 대해 "금융위 출범 이전인 1월 말 지분형 분양제도 관련 내용에 대해 담당 실무자가 검토한 것으로,내부적으로 보고되지 않은 비공식 의견이었다"며 "기본적인 계획이 전혀 잡히지 않은 당시 상황에서는 구체적인 내용을 알기 어려워 실무자급 선에서만 논의를 마쳤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중앙 행정기관이 지분형 아파트의 투자자금 유동화가 어렵다는 분석을 제시한 만큼 실제 도입 단계까지는 적잖은 논란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도 지난달 말 인사청문회에서 "지분형 아파트는 파이낸싱 측면에서 보면 상당히 어려운 과제"라며 "국공유지 등의 예외적인 경우에 가능하다"는 의견을 내놓은 바 있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