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정책과 감독을 총괄하는 금융위원회의 부위원장에 이창용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가 13일 임명됨에 따라 금융당국의 수장과 2인자 자리가 모두 민간 출신으로 채워졌다.

금융위 내부에서는 전광우 딜로이트코리아 회장이 위원장으로 발탁됐을 때 부위원장에는 위원장을 업무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관료 출신이 기용될 것으로 예상했는데 `파격'이라는 반응이다.

그동안 김용환 금융위 상임위원, 권태균 경제자유구역단장, 이창용 교수의 3파전에서 관료 쪽에 무게를 두는 분위기였으나 이 교수가 낙점된 것이다.

금융위의 전신인 금융감독위원회 때를 포함해 위원장과 부위원장을 모두 민간 출신이 맡은 것은 처음이며 다른 부처 장.차관의 경우 민간과 관료 출신이 조합을 이룬 것과도 대조된다.

이는 금융 규제 개혁을 금융 산업 선진화의 최우선 과제로 설정한 이명박 대통령의 의중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 신임 부위원장은 전광우 위원장이 세계은행 선임 애널리스트와 금융당담 수석 이코노미스트 등으로 근무할 때 세계은행 객원연구원으로 활동한 인연을 갖고 있다.

그는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경제1분과 위원을 맡으며 새 정부가 추진할 경제.금융정책의 틀을 짰기 때문에 전 위원장을 보좌하며 금융 규제 개선과 금융산업의 글로벌화, 국책은행 민영화 등을 위한 세부 그림을 그리는데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이날 부위원장이 임명됨에 따라 이제 관심은 후속 인사에 쏠리고 있다.

금융위의 1급 자리 4개 가운데 실무를 총괄하는 사무처장에는 김용환 상임위원과 임승태 국장(전 재정경제부 금융정책국장), 권혁세 증선위원 등이 물망에 오르고 있다.

금융위 상임위원 두 자리 중 하나는 민간 전문가, 나머지는 내부 출신이 채울 가능성이 크다.

국장 자리의 경우 금융정책국장에는 김광수 국장, 금융서비스국장에는 김주현 국장, 자본시장정책관에는 홍영만 대변인이 이름을 올리고 있다.

이와 함께 금융회사를 직접 감독하는 공적 민간기구인 금융감독원의 원장에 누가 기용될지도 관심사다.

금융위원장에 민간 출신이 기용됐을 때만 해도 금융감독원장은 관료 출신이 맡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지만 금융위 부위원장 인선 등 새 정부의 인사 스타일을 볼 때 시장 친화적인 감독을 위해 금융감독원장에도 민간 금융인을 발탁할 수 있다는 전망도 고개를 들고 있다.

금융감독원장 후보로는 이우철 금감원 부원장, 김석동 전 재경부 차관, 진동수 전 재경부 차관, 하영구 한국씨티은행장이 꾸준히 이름을 올리고 있으며 최근에는 금감원 부원장과 기업은행장,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한 김종창 법무법인 광장 고문도 거론되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금융위 부위원장이 임명됨에 따라 조속히 후속 인사를 단행할 것으로 보인다"며 "금융감독원장에 누가 기용될지 예측하기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문성 기자 kms1234@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