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 주ㆍ정차 차량을 끌어가는 견인업체에 대한 당국의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견인대행권이 거래되는 등 탈법ㆍ편법행위가 속출하고 있다.

또 견인업체들이 고유가와 적자를 핑계로 최근에는 교통흐름에 방해가 안 되는 주말이나 공터에 세워둔 차까지 무작정 끌고가 차주인과 곳곳서 마찰을 빚고 있다.

13일 서울시와 견인업계에 따르면 최근 들어 서울지역에서 구청과 계약을 맺고 차량을 끌어가는 견인대행업체 33개 중 적잖은 업체들이 견인대행권을 구청의 사전승인없이 별도 계약으로 다른 수송업체에 넘기는 등 편법행위가 나타나고 있다.

2년 전 견인대행을 했다는 한 업체 관계자는 "견인대행업체는 1991년 서울시가 처음 지정했다가 곧바로 지정권을 자치구로 넘겼다"며 "이런 뒤 견인대행권 이전에 대한 관리가 제대로 된 적이 거의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최근 몇 년 사이 대행권이 몇 차례 거래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대행업체들이 권리를 넘길 때 웃돈을 받는 사례도 있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기존업체가 새로운 업체와 거래한 뒤 구청에 허가를 요청하면 대부분 허가를 해주는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관리가 허술한 것은 지정권업무와 허가행정권이 이분화돼 통합관리가 안 되고 있기 때문이다.

원래 견인업체를 관리하는 곳은 서울시 주차단속팀.하지만 견인업체 지정업무는 각 자치구 관할이다.

대행권이 거래되면서 무차별 견인도 작년부터 늘고 있다.

견인업무의 주된 이유는 교통혼잡지역의 차량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그러나 주말 등 교통 흐름에 크게 방해받지 않는 지역까지 저인망식으로 훑고 다니면서 견인이 이뤄져 계도가 아닌 돈벌이에 치중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다.

서울시견인협회가 견인업체들을 대상으로 견인실적을 조사한 결과,2007년 견인대수는 25만8151대로 전년(24만3248대)보다 1만4903대(5.4%)가 늘었다.

견인실적이 가장 많은 H자동차의 경우 작년 4분기 4535대를 기록,전년 동기 대비 35.7%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대해 견인업체 측은 문제가 없다는 반응이다.

자신들은 원칙대로 견인하고 있으며 오히려 적자를 메우려면 지금보다 견인을 더 강하게 해야 한다는 것.견인업계는 차량 한 대당 2만3798원의 적자가 발생한다며 견인비 인상,견인 대상 확대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재철 기자 eesang6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