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김태국 교수 논문 '날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제2의 황우석 사건'으로 불리는 KAIST 생명과학과 김태국 교수의 논문이 실험없이 연구자가 임의로 날조한 것으로 확인됐다.
KAIST 연구진실성위원회(위원장 양현승)는 13일 교내에서 가진 중간발표를 통해 "김 교수가 2005년 사이언스(Science)에 발표한 'MAGIC' 기술은 연구 결과를 반복적으로 재현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신약 후보물질의 스크리닝(Screening) 결과는 심각한 조작과 변조를 포함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진실성위원회는 또 "MAGIC 기술을 이용해 노화방지 물질인 CGK733을 발굴했다고 2006년 네이처 케미컬 바이올로지(Nature Chemical Biology)에 발표한 연구 결과 역시 위조된 사실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KAIST 연구진실성위원회(위원장 양현승)는 13일 교내에서 가진 중간발표를 통해 "김 교수가 2005년 사이언스(Science)에 발표한 'MAGIC' 기술은 연구 결과를 반복적으로 재현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신약 후보물질의 스크리닝(Screening) 결과는 심각한 조작과 변조를 포함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진실성위원회는 또 "MAGIC 기술을 이용해 노화방지 물질인 CGK733을 발굴했다고 2006년 네이처 케미컬 바이올로지(Nature Chemical Biology)에 발표한 연구 결과 역시 위조된 사실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