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계 의원들 공천 결과 듣고 할 말 잃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충격과 공포’ 그 자체였다.
박근혜계 의원들은 당의 공천 결과 발표를 듣고 말을 잇지 못했다.
설마설마 하던 일이 현실화됐다는 분위기 속에 일부 의원들은 탈당쪽으로 가닥을 정하는 분위기다.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는 결과를 전해듣고 침묵을 지키고 있다.
이정현 공보특보는 “예상치 못했던 결과에 대표도 침묵을 지키고 있다”며 “조금더 추이를 두고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공천 심사 와중에 친박측 의원들 일부가 배제될 것으로는 예상했지만 문제는 그 폭이다.
김무성 최고위원과 김재원 의원 등 경선 캠프에서 핵심을 담당했던 의원들이 모두 배제된 것에 적잖은 충격을 받은 분위기다.
자그만치 10명의 의원이 물갈이 된데 반해 생존자는 대구에서 유승민 의원(동구을)을 비롯해 허태열(부산 북·강서을),서병수(부산 해운대·기장갑) 등 3명에 불과하다.
박 전 대표측 관계자는 “최대 5명 이상은 넘을 걸로 예상하지 못했다”며 “김재원 의원을 비롯해 여러 면에서 문제가 전혀 없는 의원들이 공천에서 탈락한 것은 박근혜계를 죽이려는 표적공천으로 밖에 볼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런 가운데 이규택 의원을 포함한 기존 공천 탈락자 20여명은 모임을 갖고 탈당하기로 마음을 정하고 행동을 같이 하기로 했다.
한선교 송영선 이진구 의원 등이 위임자를 대신 보냈으며 모임의 결정에 따르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 전 대표를 비롯해 이날 공천에서 누락된 현역 의원 10명도 합류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당장 자유선진당 합류설이 유력하게 부각되고 있다.
‘4·9 총선’에 조직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정당이라는 틀을 유지해야 하는데 한달도 채 남지 않아 현실적으로 시간이 남지 않았기 때문이다.
세 불리기에 주력하고 있는 선진당에서도 유리한 조건으로 박 전 대표를 비롯한 탈당파를 끌어 안을 거라는 점도 이유다.
일각에서는 정근모 전 명지대총장이 만든 참주인연합이 최근 이름을 바꾼 ‘미래한국당’에 합류해 당을 ‘박근혜 당’으로 만든다는 계획도 나오고 있다.
어떻게든 행보의 변화가 불가피한 상황에서 박 전 대표의 다음 결정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노경목 기자 autonomy@hankyung.com
박근혜계 의원들은 당의 공천 결과 발표를 듣고 말을 잇지 못했다.
설마설마 하던 일이 현실화됐다는 분위기 속에 일부 의원들은 탈당쪽으로 가닥을 정하는 분위기다.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는 결과를 전해듣고 침묵을 지키고 있다.
이정현 공보특보는 “예상치 못했던 결과에 대표도 침묵을 지키고 있다”며 “조금더 추이를 두고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공천 심사 와중에 친박측 의원들 일부가 배제될 것으로는 예상했지만 문제는 그 폭이다.
김무성 최고위원과 김재원 의원 등 경선 캠프에서 핵심을 담당했던 의원들이 모두 배제된 것에 적잖은 충격을 받은 분위기다.
자그만치 10명의 의원이 물갈이 된데 반해 생존자는 대구에서 유승민 의원(동구을)을 비롯해 허태열(부산 북·강서을),서병수(부산 해운대·기장갑) 등 3명에 불과하다.
박 전 대표측 관계자는 “최대 5명 이상은 넘을 걸로 예상하지 못했다”며 “김재원 의원을 비롯해 여러 면에서 문제가 전혀 없는 의원들이 공천에서 탈락한 것은 박근혜계를 죽이려는 표적공천으로 밖에 볼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런 가운데 이규택 의원을 포함한 기존 공천 탈락자 20여명은 모임을 갖고 탈당하기로 마음을 정하고 행동을 같이 하기로 했다.
한선교 송영선 이진구 의원 등이 위임자를 대신 보냈으며 모임의 결정에 따르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 전 대표를 비롯해 이날 공천에서 누락된 현역 의원 10명도 합류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당장 자유선진당 합류설이 유력하게 부각되고 있다.
‘4·9 총선’에 조직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정당이라는 틀을 유지해야 하는데 한달도 채 남지 않아 현실적으로 시간이 남지 않았기 때문이다.
세 불리기에 주력하고 있는 선진당에서도 유리한 조건으로 박 전 대표를 비롯한 탈당파를 끌어 안을 거라는 점도 이유다.
일각에서는 정근모 전 명지대총장이 만든 참주인연합이 최근 이름을 바꾼 ‘미래한국당’에 합류해 당을 ‘박근혜 당’으로 만든다는 계획도 나오고 있다.
어떻게든 행보의 변화가 불가피한 상황에서 박 전 대표의 다음 결정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노경목 기자 autonom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