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당이냐,당내 투쟁이냐.'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정치생명을 건 중대 기로에 섰다. '친박' 캠프 좌장격인 김무성 의원과 최측근인 유기준.김재원 의원 등 10명이 영남권 공천에서 대거 탈락하면서 박 전 대표가 어떤 형태로든 정치적 선택을 해야 할 입장에 놓인 것이다.

이미 박 전 대표는 지난 12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잘못된 공천으로는 당 화합이 힘든 상황이 올 수 있다"며 "앞으로 지켜보고 판단하겠다"고 경고한 바 있다. 박 전 대표는 영남권 공천발표 직후 삼성동 자택에서 칩거하다가 14일 오후 서울시내 모처에서 일부 측근들과 긴급회동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정현 전 캠프 대변인은 "고민을 거듭하고 있는 것 같다"고 전했다. 향후 거취에 대해 "의원들과 논의하고 있다"는 말만 되풀이 했다. 다만 박 전 대표가 공천에서 탈락한 일부 친박 의원들에 대해 "살아서 돌아와달라"고 언급한 대목에 정치적 의미가 부여되고 있다. 유기준 의원은 이날 한 라디오에 출연, "(공천결과는) 시간여유를 주지 않고 탈당도 못하게 하려는 것"이라며 "박 전 대표가 '살아서 돌아와달라'고 말한 기억이 난다"고 말했다.

'살아서 돌아와달라'는 말에는 두 가지 함의가 담겨 있다. 여러가지 정치공학상 자신의 탈당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점을 시사하면서 공천탈락 측근들의 탈당 후 무소속 출마를 묵인한 것이라는 해석이다. 측근 의원은 "(박 전 대표) 본인은 온갖 역경에서 살려낸 한나라당을 차마 탈당할 수 없다고 보는 것 같다"며 "결국 (측근 의원들) 각자가 정치적 회생의 기회를 찾아야 한다는 뜻 아니겠느냐"고 복잡한 심경을 토로했다.

자칫 계파 챙기기,밥그릇 싸움 등으로 비쳐질 것을 우려,탈당보다는 당내 투쟁쪽으로 가닥을 잡았다는 관측에 무게가 살리고 있다. 박 전 대표가 비록 탈당하지 않더라도 앞으로 당의 총선 지원에는 소극적일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총선에서 수도권 지원을 전면 보이콧하고,자파 의원들의 지원에 주력하지 않겠느냐"는 말도 들린다.

물론 조만간 발표될 강남권 공천심사 결과를 지켜본 뒤 최악의 경우 집단대응 카드를 꺼낼 것이라는 관측도 없지 않다. 이 경우 탈당을 포함한 모든 경우의 수를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 주변 측근들의 주장이다.

이준혁 기자 rainbo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