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레이더] '영종 하늘도시' 외곽 유령건물 우후죽순 … "보상금 더 받자" 마구잡이 신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 15일 인천 영종도 북측 방조제에서 을왕리 해수욕장으로 접어드는 길목.양쪽 도로변을 따라 1~3층 규모의 건물 10여개가 뚝딱뚝딱 망치소리와 함께 지어지고 있었다.
펜션으로 쓰려고 건실하게 짓는 건물도 있지만 대부분은 외벽만 둘러친 용도 불명의 건물이거나 조립식 패널 건물이었다.
'임대를 놓는다'는 플래카드를 걸어 놓은 신축 상가 건물도 4~5채 눈에 띄었다.
해수욕장에서 2㎞가량 떨어져 있어 사람들이 많이 찾을 위치는 아닌 듯했다.
항공.물류도시로 조성될 인천시 중구 영종동의 영종하늘도시 외곽으로 추가 개발과 토지수용을 기대한 '유령 건물' 신축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자연녹지인 논밭에 건물을 짓고 대지로 형질을 변경하면 공시지가가 2~3배 뛴다는 소문에 지주들이 임대 여부에 관계없이 상가용 건물을 앞다퉈 짓고 있는 것.
인근 온누리공인 관계자는 "용유도 일대 개발 가능한 임야나 전답은 3.3㎡당 100만∼150만원 선에 거래되고 있는데 대지 시세는 3.3㎡당 200만∼400만원 선"이라고 설명했다.
관할 관청인 인천경제자유구역청 영종관리과는 이에 대해 "법적 요건을 갖춰 건축허가 신청을 해오면 허가를 내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개발계획 지구로 지정하지 않아 규제 수단이 마땅찮다는 해명이지만 편법적인 건축행위를 묵인한 셈이다.
원주민 외에 인근 하늘도시에서 토지보상을 받은 사람들(주로 농민)도 용유,무의도 일대 논밭을 다시 사들여 건물을 짓고 있다.
멍하니 농토만 갖고 있다가 공시지가의 150~180%(시세의 30∼60%)밖에 보상받지 못한 '실수'를 만회하고 2012년 하늘도시가 완공될 때까지 이주공간을 마련하려는 다목적 포석으로 풀이된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에 따르면 2006년 상반기 102건이던 영종도와 용유,무의도 일대 건축허가 건수는 같은 해 하반기 142건,작년 상반기엔 162건으로 늘어났다.
인천경제구역청이 독일 캠핀스키 컨소시엄과 손잡고 용유,무의도에 대단위 국제관광단지를 조성키로 한 뒤인 작년 하반기엔 건축허가 건수가 380건으로 폭증했다.
올 들어서도 3월 초까지 210건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급기야는 인천경제청이 지난 7일 용유.무의지역 건축허가를 제한하겠다는 내용을 고시하기에 이르렀다.
앞으로 용유,무의도 일대에선 건축허가를 내주지 않겠다는 얘기다.
그러나 건축허가 제한을 어느 정도 예상한 사람들은 이미 하늘도시와 가까운 운남동 일대로 발길을 돌리기 시작했다.
운남동에 위치한 한 건축사사무소 관계자는 "작년 11월부터 올 2월까지 설계 문의가 급증했다"고 말했다.
인근 구정공인 관계자는 "하늘도시의 확대 가능성을 본 투기세력들이 운남동 주택이나 토지 매입을 늘리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운남동 전소 마을에는 20여개의 신축 상가용 건물이 경쟁하듯 지어지고 있다.
완공된 상가들은 임차 상인을 찾지 못해 텅 빈 상태다.
일각에선 하늘도시의 토지보상 과정을 지켜본 이 일대 농민들이 제 권리를 찾기 위해 건물을 지을 수밖에 없다는 옹호론도 제기했다.
보상을 받아봐야 시세 대비 최고 60%밖에 받지 못한다. 개발부담금과 양도세 등을 부담해서다.
영종도=장규호 기자 danielc@hankyung.com
펜션으로 쓰려고 건실하게 짓는 건물도 있지만 대부분은 외벽만 둘러친 용도 불명의 건물이거나 조립식 패널 건물이었다.
'임대를 놓는다'는 플래카드를 걸어 놓은 신축 상가 건물도 4~5채 눈에 띄었다.
해수욕장에서 2㎞가량 떨어져 있어 사람들이 많이 찾을 위치는 아닌 듯했다.
항공.물류도시로 조성될 인천시 중구 영종동의 영종하늘도시 외곽으로 추가 개발과 토지수용을 기대한 '유령 건물' 신축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자연녹지인 논밭에 건물을 짓고 대지로 형질을 변경하면 공시지가가 2~3배 뛴다는 소문에 지주들이 임대 여부에 관계없이 상가용 건물을 앞다퉈 짓고 있는 것.
인근 온누리공인 관계자는 "용유도 일대 개발 가능한 임야나 전답은 3.3㎡당 100만∼150만원 선에 거래되고 있는데 대지 시세는 3.3㎡당 200만∼400만원 선"이라고 설명했다.
관할 관청인 인천경제자유구역청 영종관리과는 이에 대해 "법적 요건을 갖춰 건축허가 신청을 해오면 허가를 내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개발계획 지구로 지정하지 않아 규제 수단이 마땅찮다는 해명이지만 편법적인 건축행위를 묵인한 셈이다.
원주민 외에 인근 하늘도시에서 토지보상을 받은 사람들(주로 농민)도 용유,무의도 일대 논밭을 다시 사들여 건물을 짓고 있다.
멍하니 농토만 갖고 있다가 공시지가의 150~180%(시세의 30∼60%)밖에 보상받지 못한 '실수'를 만회하고 2012년 하늘도시가 완공될 때까지 이주공간을 마련하려는 다목적 포석으로 풀이된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에 따르면 2006년 상반기 102건이던 영종도와 용유,무의도 일대 건축허가 건수는 같은 해 하반기 142건,작년 상반기엔 162건으로 늘어났다.
인천경제구역청이 독일 캠핀스키 컨소시엄과 손잡고 용유,무의도에 대단위 국제관광단지를 조성키로 한 뒤인 작년 하반기엔 건축허가 건수가 380건으로 폭증했다.
올 들어서도 3월 초까지 210건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급기야는 인천경제청이 지난 7일 용유.무의지역 건축허가를 제한하겠다는 내용을 고시하기에 이르렀다.
앞으로 용유,무의도 일대에선 건축허가를 내주지 않겠다는 얘기다.
그러나 건축허가 제한을 어느 정도 예상한 사람들은 이미 하늘도시와 가까운 운남동 일대로 발길을 돌리기 시작했다.
운남동에 위치한 한 건축사사무소 관계자는 "작년 11월부터 올 2월까지 설계 문의가 급증했다"고 말했다.
인근 구정공인 관계자는 "하늘도시의 확대 가능성을 본 투기세력들이 운남동 주택이나 토지 매입을 늘리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운남동 전소 마을에는 20여개의 신축 상가용 건물이 경쟁하듯 지어지고 있다.
완공된 상가들은 임차 상인을 찾지 못해 텅 빈 상태다.
일각에선 하늘도시의 토지보상 과정을 지켜본 이 일대 농민들이 제 권리를 찾기 위해 건물을 지을 수밖에 없다는 옹호론도 제기했다.
보상을 받아봐야 시세 대비 최고 60%밖에 받지 못한다. 개발부담금과 양도세 등을 부담해서다.
영종도=장규호 기자 daniel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