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청,`노래방 새우깡'서 생쥐머리 추정 이물질 검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식품의약품안전청은 17일 농심 부산공장이 생산한 일부`노래방 새우깡' 제품에서 생쥐 머리로 추정되는 이물질을 확인, 대상 제품을 모두 수거, 폐기하도록 조치했다.
식약청은 최근 이 공장에서 만든 새우깡에서 "생쥐 머리 모양의 이물이 나왔다"는 제보를 받고 현장 조사를 벌인 결과, "농심 부산공장이 자체 실시한 시험분석에서 이물질 크기 약 16㎜로 외관은 딱딱하고 기름이 묻어있었고 털이 미세하게 탄 흔적이 있는 물질을 검출했다"고 밝혔다.
식약청 관계자는 "생쥐 머리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제보 당시에는 이물질의 현물이 보관돼 있지 않아 실제 생쥐 머리인지 여부는 정확히 판별할 수 없었다.
식약청은 그러나 농심 부산공장 내부는 밀폐식 시설로서 제조관리 상태가 양호해 새우깡의 주원료를 반제품 형태로 제조 또는 포장하는 농심의 중국 현지공장(청도 농심푸드)에서 이물질이 혼입됐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새우깡은 원료혼합, 반제품, 건조, 포장 등의 공정을 거쳐 제조되는데 반제품은 중국 현지공장에서 제조하며 농심 부산공장에서는 이 반제품을 사용해 건조, 포장해 제품으로 생산하고 있다.
식약청은 농심에 대해 시설개수 명령 등 행정처분을 내리고 재발방지대책을 강구하도록 지시했다.
아울러 문제의 반제품을 이용해 만든 모든 새우깡 제품을 수거, 폐기토록 조치하는 한편 이달 말께 중국 현지공장에 대한 실태 조사도 벌일 계획이다.
디지털뉴스팀 newsinfo@hankyung.com
식약청은 최근 이 공장에서 만든 새우깡에서 "생쥐 머리 모양의 이물이 나왔다"는 제보를 받고 현장 조사를 벌인 결과, "농심 부산공장이 자체 실시한 시험분석에서 이물질 크기 약 16㎜로 외관은 딱딱하고 기름이 묻어있었고 털이 미세하게 탄 흔적이 있는 물질을 검출했다"고 밝혔다.
식약청 관계자는 "생쥐 머리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제보 당시에는 이물질의 현물이 보관돼 있지 않아 실제 생쥐 머리인지 여부는 정확히 판별할 수 없었다.
식약청은 그러나 농심 부산공장 내부는 밀폐식 시설로서 제조관리 상태가 양호해 새우깡의 주원료를 반제품 형태로 제조 또는 포장하는 농심의 중국 현지공장(청도 농심푸드)에서 이물질이 혼입됐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새우깡은 원료혼합, 반제품, 건조, 포장 등의 공정을 거쳐 제조되는데 반제품은 중국 현지공장에서 제조하며 농심 부산공장에서는 이 반제품을 사용해 건조, 포장해 제품으로 생산하고 있다.
식약청은 농심에 대해 시설개수 명령 등 행정처분을 내리고 재발방지대책을 강구하도록 지시했다.
아울러 문제의 반제품을 이용해 만든 모든 새우깡 제품을 수거, 폐기토록 조치하는 한편 이달 말께 중국 현지공장에 대한 실태 조사도 벌일 계획이다.
디지털뉴스팀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