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민주당이 18일 수도권 및 호남 등 초경합 지역과 현역의원이 탈락한 선거구 17곳에 대한 공천자를 확정,발표했다.

이로써 민주당은 네 차례에 걸쳐 150여개 지역구에 대한 공천작업을 마무리했다.

나머지 전략 지역 공천이 확정되면 민주당의 현역의원 물갈이 비율은 20%대를 기록할 전망이다.

이는 한나라당(38.5%)의 절반에 그친 수준이다.

특히 호남지역 현역의원 물갈이 폭은 당초 예상됐던 50%를 넘지 못하고 40%대에 머무를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당 안팎에서 당초 공천심사위원회가 공언했던 '개혁 공천'이 퇴색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지역구 공천자 선정이 일단락됐지만 공천 결과를 놓고 옛 민주당 인사와 탈락자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서 공천 갈등이 내홍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특히 옛 민주당 출신 후보자들은 "균형 공천이 무너졌다.

공천을 무효화하지 않으면 탈당하겠다"며 집단 행동까지 불사할 태세다.

옛 민주계는 지금까지 공천이 확정된 132개 지역 중 민주계 후보자가 5명에 불과해 전체 공천자의 4%에도 못 미친다고 주장한다.

옛 민주당 출신 예비후보들과 시·도당위원장 등 100여명은 이날 옛 민주당사에서 모임을 갖고 공동 대응책을 논의한 뒤 탈당 후 무소속 연대 시나리오까지 거론하며 공심위와 당을 압박하고 있다.

박상천 공동대표도 전략 공천문제를 놓고 손학규 대표,박재승 공천심사위원장과 한치의 양보 없는 싸움을 벌이고 있다.

박 대표는 자신이 요구한 호남지역 전략 공천 5곳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손 대표와 박 위원장이 제시한 9곳을 수용하지 않고 있는 상태다.

하지만 박 위원장은 전략 공천 후보자 선정에서도 원칙대로 가겠다는 뜻을 굽히지 않고 있어 양측의 마찰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

양형일 심재권 장경수 의원 등 탈락한 현역의원들도 이날 공심위에 자료 공개를 요구하며 이의를 제기하고 나섰다.

다만 정균환 최고위원은 일단 결과에 승복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강동균 기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