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물 물…물산업 뜬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10년 3181억弗 시장으로 팽창
22일은 유엔이 정한 '세계 물의 날'이다.
유엔이 물의 날을 제정한 것은 개발도상국의 경제성장과 기후변화 등에 따라 물 소비가 급속히 늘면서 물 부족 위기가 심각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유엔은 세계 인구의 40%에 이르는 26억명이 깨끗한 물을 공급받지 못하고 있으며 아프리카 등에서 매년 20만명의 어린이가 물 오염으로 사망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처럼 세계적인 물 부족 현상이 빚어지면서 물이 기업과 투자자들의 새로운 화두로 부상하고 있다.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IHT)은 20일 미국발 신용경색으로 금융시장에서 빠져나온 유동성 중 일부가 중국 등 도시인구 급증으로 물 부족에 시달리는 개발도상국의 용수 관리 및 식수 공급 관련 투자처로 옮겨가고 있다고 소개했다.
투자회사 포윈즈캐피털의 최고경영자(CEO) 킴벌리 타라는 "지난 10년간 많은 도시가 규모 면에서 급성장했지만 식수 공급 등을 위한 기반시설의 조성은 절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라며 "여기에 바로 큰 투자 기회가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포윈즈는 올해 물 개발에 본격적으로 투자하기 위해 46억8000만달러의 글로벌 펀드 기금을 마련했다고 타라는 전했다.
물 공급난은 세계 최대 현안으로 떠올랐다.
특히 세계 인구의 5분의 1을 차지하는 중국의 경우 보유 물의 양이 세계 7% 수준에 불과해 가장 두드러진 물 부족 국가로 꼽힌다.
중국은 물 부족 사태에 대한 대안으로 2010년까지 폐수처리시설 1000개를 건설할 계획이지만 도시를 제외한 지역의 경우 여전히 물 공급 부족을 해결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상당수 물 부족 국가 정부들이 주민 생활의 안정을 위해 수돗물 비용을 국고보조하고 있어 물 소비자들에게 물과 관련된 시설물 확충 비용을 부담시키기 어려운 처지다.
메릴린치의 애널리스트 밀러 베이크웰은 "기술은 있다.
또 누구나가 그런 시설의 필요성을 잘 알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그렇다면 누가 그 비용을 댈 것인가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기근에 잘 견디는 종자를 개발하거나 폐수처리 사업에 투자하는 등 우회적인 방법으로 물 부족을 해결하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세계적인 농업 기업인 몬산토는 지구온난화에 대처하기 위한 종자 개발로 주목을 끌고 있다.
몬산토는 기근에 잘 견디는 신품종 개발 등에 힘입어 당초 예상보다 39배 많은 거래 실적을 기록했다.
물 관련 산업은 크게 서비스업과 제조업으로 나눌 수 있다.
서비스업에는 상수 공급과 하수 처리,상하수도 관리 등이,제조업에는 상하수도 설비와 화학약품 생산 등이 포함된다.
이미 GE 지멘스 등 세계적 중장비업체와 홈데포 3M 비올리아 수에즈 등의 업체가 진출해 있는 상태다.
시장조사업체인 데이터모니터 등에 따르면 세계 물 산업은 지난해 2745억달러에서 2010년 3181억달러 규모로 팽창할 것으로 전망된다.
물 산업이 팽창하면서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펀드들도 등장했다.
한국에도 지난해 워터펀드가 대거 선보였다.
이미아/서기열 기자 mia@hankyung.com
유엔이 물의 날을 제정한 것은 개발도상국의 경제성장과 기후변화 등에 따라 물 소비가 급속히 늘면서 물 부족 위기가 심각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유엔은 세계 인구의 40%에 이르는 26억명이 깨끗한 물을 공급받지 못하고 있으며 아프리카 등에서 매년 20만명의 어린이가 물 오염으로 사망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처럼 세계적인 물 부족 현상이 빚어지면서 물이 기업과 투자자들의 새로운 화두로 부상하고 있다.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IHT)은 20일 미국발 신용경색으로 금융시장에서 빠져나온 유동성 중 일부가 중국 등 도시인구 급증으로 물 부족에 시달리는 개발도상국의 용수 관리 및 식수 공급 관련 투자처로 옮겨가고 있다고 소개했다.
투자회사 포윈즈캐피털의 최고경영자(CEO) 킴벌리 타라는 "지난 10년간 많은 도시가 규모 면에서 급성장했지만 식수 공급 등을 위한 기반시설의 조성은 절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라며 "여기에 바로 큰 투자 기회가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포윈즈는 올해 물 개발에 본격적으로 투자하기 위해 46억8000만달러의 글로벌 펀드 기금을 마련했다고 타라는 전했다.
물 공급난은 세계 최대 현안으로 떠올랐다.
특히 세계 인구의 5분의 1을 차지하는 중국의 경우 보유 물의 양이 세계 7% 수준에 불과해 가장 두드러진 물 부족 국가로 꼽힌다.
중국은 물 부족 사태에 대한 대안으로 2010년까지 폐수처리시설 1000개를 건설할 계획이지만 도시를 제외한 지역의 경우 여전히 물 공급 부족을 해결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상당수 물 부족 국가 정부들이 주민 생활의 안정을 위해 수돗물 비용을 국고보조하고 있어 물 소비자들에게 물과 관련된 시설물 확충 비용을 부담시키기 어려운 처지다.
메릴린치의 애널리스트 밀러 베이크웰은 "기술은 있다.
또 누구나가 그런 시설의 필요성을 잘 알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그렇다면 누가 그 비용을 댈 것인가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기근에 잘 견디는 종자를 개발하거나 폐수처리 사업에 투자하는 등 우회적인 방법으로 물 부족을 해결하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세계적인 농업 기업인 몬산토는 지구온난화에 대처하기 위한 종자 개발로 주목을 끌고 있다.
몬산토는 기근에 잘 견디는 신품종 개발 등에 힘입어 당초 예상보다 39배 많은 거래 실적을 기록했다.
물 관련 산업은 크게 서비스업과 제조업으로 나눌 수 있다.
서비스업에는 상수 공급과 하수 처리,상하수도 관리 등이,제조업에는 상하수도 설비와 화학약품 생산 등이 포함된다.
이미 GE 지멘스 등 세계적 중장비업체와 홈데포 3M 비올리아 수에즈 등의 업체가 진출해 있는 상태다.
시장조사업체인 데이터모니터 등에 따르면 세계 물 산업은 지난해 2745억달러에서 2010년 3181억달러 규모로 팽창할 것으로 전망된다.
물 산업이 팽창하면서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펀드들도 등장했다.
한국에도 지난해 워터펀드가 대거 선보였다.
이미아/서기열 기자 mi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