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은 13호.21호.23호.31호 등의 숫자로 색상을 구분한다.

파운데이션,파우더 팩트,트윈 케이크 등 기초 메이크업 제품은 내추럴 베이지,핑크 베이지,아이보리 등 다양한 색상이 있지만 숫자 표기가 일반적이다.

왜 간단히 1.2.3도 아니고 복잡하고 기억하기 어려운 숫자로 구분할까?

국산 기초 메이크업 제품은 1916년 박승직(박용곤 두산그룹 명예회장의 조부)이 개발한 '박가분'이 효시.변변한 화장품이 없던 당시 '박가분을 바르면 주근깨 여드름 등 잡티가 사라지고 매우 고와진다'는 신문 광고로 신여성들에게 최고 인기 상품이 됐다.

이후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면서 화장품 업체들은 여성의 피부에 맞춰 10호(핑크).20호(베이지).30호(브라운)로 나누고,뒷자리에 1~3을 붙여 밝기를 구분했다.

즉 숫자 앞자리는 색상을,뒷자리는 톤을 나타내는 것이다.

1980년대에는 '아모레 아줌마''쥬단학 아줌마' 등 방문판매원들이 소비자들이 알기 쉽게 호수는 '분'을 굽는 시간이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11.13호보다 31.33호가 오래 구우니 더 짙어진다는 것.이런 화장품 구분법은 국내에서만 쓰인다.

미국 일본에도 O00.O10.NC.NW 등 다양한 표기법이 있다.

화장품 색상에 국제 기준이 없는 이유는 국가.인종.브랜드.시즌별로 색조와 트렌드가 제각각이라 표준화가 어렵기 때문이다.

안상미 기자 sara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