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영그룹이 자녀 1명을 낳을 때마다 1억원을 주는 출산장려금을 지난 한 해 동안만 28억원 지급한 것으로 알려졌다.부영은 5일 오전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2025년 시무식을 열고 지난 한 해 출산한 직원들에게 총 28억원을 지급했다고 밝혔다. 부영의 출산장려금 제도는 이중근 회장이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해 마련했다. 시행 첫해인 지난해에는 2021~2023년 자녀를 낳은 직원들에게 총 70억원이 지급된 바 있다. 특히 혜택을 받은 직원은 연평균 23명이다.부영은 지난해 이보다 5명이 많은 28명이 태어난 만큼 출산장려금의 저출생 문제 해소 효과가 확실하다고 평가하고 있다.이 회장은 "저출생 문제가 계속된다면 20년 후 국가 존립 위기를 겪게 될 것으로 보고 해결책으로 출산장려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우리가 마중물이 돼 앞으로 많은 기업이 출산을 자발적으로 지원하게 됐으면 좋겠다"고 밝혔다.한편 이 회장은 6·25 전쟁에 참여한 유엔군에 감사를 표하고 이들의 희생정신을 기리기 위해 유엔데이인 10월 24일을 공휴일로 재지정하자는 제안도 했다. 유엔 창설, 발족일인 1945년 이날을 기리는 유엔데이는 1950년 공휴일로 지정됐다. 다만 북한의 유엔 산하 기구 가입에 항의를 표하는 뜻으로 정부가 1976년 공휴일 지정을 폐지했다.이 회장은 "6·25 전쟁은 유엔군이 유엔 창설 후 최초이자 지금까지 유일하게 참전한 것이다. 유엔군은 낯선 땅에서 평화를 지키기 위해 목숨을 걸고 싸웠다. 그 희생 위에 한국이 존재하게 됐다. 그러나 우리는 유엔군의 희생을 망각하고 있다. 고마움을 잊지 않는 마음으로 유엔데이를 공휴일로 재지정해 시대 정신을 후대에 물려줘야 한다"
월트 디즈니가 예상을 크게 넘는 이익과 연간 전망을 발표했다. 디즈니 주가는 5일(현지시간) 뉴욕증시 개장전 거래에서 1.5% 오른 115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5일(현지시간) 디즈니는 12월 28일 기준 분기 순이익은 25억 5,000만 달러(주당 1.40달러)로, 전년 동기의 19억 1,000만 달러(주당 1.04달러)보다 크게 증가했다고 보고했다. 구조조정 비용 등 비정기적 항목을 제외한 조정 순익은 주당 1.76달러로 분석가들의 컨센서스인 1.45달러를 넘어섰다. 매출은 4.8% 증가한 246억 9,000만 달러(36조원)에 달했다. 분석가들이 예상한 246억 7,0000만달러를 웃돌았다. 스트리밍 서비스인 디즈니플러스를 포함한 엔터테인먼트 사업은 성장했으나 기대치에는 못미쳤고 이보다 사업 규모가 적은 스포츠 및 체험 사업은 기대치보다 양호한 성과를 보였다. 회사는 올해 주당이익(EPS)을 5.41달러로 예상했다. 이는 이익 성장률이 8.9%로 높은 한자릿수를 기록할 것이라는 의미이다. 디즈니의 최대 사업인 엔터테인먼트 사업의 매출은 8.9% 증가해 108억 7,000만 달러(15조7,3000억원)를 기록했다. 팩트셋이 집계한 분석가들의 예상치 110억 9,000만달러에는 못미쳤다. 해당 사업내에서 디즈니플러스와 훌루를 포함하는 직접 소비자 부문(DTC)의 매출은 9.5% 증가한 60억7,000만달러를 기록했다. 분석가들이 예상한 61억 4,000만 달러보다 적었다. 디즈니플러스 가입자 수는 1억 2,460만 명으로 전 분기 대비 0.6% 감소했다. 사용자당 평균 수익은 7.20달러에서 7.55달러로 증가했다. 훌루 가입자는 5,200만명에서 5,360만명으로 증가했다. 디즈니의 CEO 밥 아이거는 "지난 해 가장 흥행한 영화 ‘인사이드아웃2’등 상위 3편이 모
오픈AI와 로보틱스 스타트업 피규어AI의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계약이 종료됐다.5일(현지시간)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브렛 에드콕 피규어AI 최고경영자(CEO)는 자신의 X(옛 트위터) 게시글을 통해 “자체 인공지능(AI)에 집중하고자 오픈AI와의 계약을 종료한다”고 밝혔다. 에드콕 CEO는 테크크런치와의 인터뷰를 통해 “AI는 하드웨어처럼 외부에서 조달할 수 없다”며 “결국 자체 모델을 개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향후 로봇에 자체 AI 모델을 적용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그는 “한 달 안에 그동안 휴머노이드 로봇에서 볼 수 없었던 것을 선보이겠다”고 했다. 두 회사는 지난해 2월 휴머노이드 로봇을 위한 차세대 AI 모델 개발하기 위해 계약을 체결했다. 당시 피규어AI측은 “휴머노이드 로봇의 언어 능력을 향상시켜 상용화 속도를 끌어올리는 게 목표"라고 설명했다. 피규어AI의 휴머노이드 로봇 '피규어 02'에 오픈AI의 모델을 활용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오픈AI는 최근 자체적으로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오픈AI는 지난달 31일 미국 특허청에 휴머노이드 로봇 제품의 상표 등록 신청서를 제출했다. 오픈AI는 4년 전 해체했던 사내 로봇팀을 다시 꾸리고 있다. 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