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급이하 드래프트制 적용 … 서울시의 '인사혁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시는 6급 이하 중.하위직 공무원의 대다수를 내부 인력시장에 내놓고 실.국장들이 선택하도록 하는 '헤드헌팅.드래프트제'를 도입한다.
실.국장에게 뽑히지 못한 직원들은 인사.감사부서의 심의를 거쳐 퇴출후보군인 현장시정추진단에 배속된다.
서울시는 지난해부터 실시 중인 '무능.불성실 공무원 퇴출제'에 이어 내달 말 6급 이하 정기전보 인사에서 헤드헌팅.드래프트제를 전면 도입키로 했다고 27일 밝혔다.
헤드헌팅.드래프트제는 민간기업이나 스포츠계에서 보편화된 우수인력 채용방식으로 지명을 받지 못할 경우 실업자 신세가 된다.
서울시 관계자는 "지난해 실시한 3% 퇴출제에서는 실.국별로 내보내야 할 인력들을 전체 정원의 의무비율(3%)로 받아 일정 기준에 미달한 직원들을 현장시정추진단에 포함시켰다"며 "하지만 이번엔 인사 대상자를 확대해 이들을 대상으로 먼저 드래프트를 실시한 뒤 선택받지 못한 직원들로 추진단을 구성한다는 점에서 한 단계 진보한 개념"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조만간 전보기준심사위원회를 열어 인사 대상자의 범위를 확정할 방침이다.
서울시가 이 같은 인사안을 추진하게 된 것은 각 실.국별로 경쟁원리를 도입하기 위해서다.
각 실.국이 능력 있는 직원을 뽑아갈 수 있도록 해주는 대신 경쟁을 통해 제대로 된 성과를 내라는 것.서울시 관계자는 "프로 스포츠를 보면 각 구단이 승리(성과)를 위해 실력 있는 선수를 영입하는 데 총력을 기울인다"면서 "이번 제도 도입을 통해 각 실.국 간 경쟁도 보다 촉진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아울러 지난해 선발했던 현장시정추진단 102명 중 2차 교육 이수자 13명에 대해 다음 달 중 심사를 벌여 최종 퇴출 대상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102명 가운데 24명은 자진퇴직 등의 형태로 이미 퇴출됐으며 55명은 재교육을 거쳐 현업에 복귀했다.
나머지 10명은 신병치료 등의 사유로 휴직했으며 13명은 2차 재교육을 받았다.
한편 서울시는 지난해 4월 '3% 퇴출제'에 이어 '전직원 상시 평가제'와 '산하 공기업 CEO 성과계약제' 등 공무원 인사개혁안을 잇따라 도입했다.
특히 지난해 11월에는 2010년까지 총정원 기준 1300명을 줄이겠다는 강도 높은 구조조정안도 발표,주목을 받았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
실.국장에게 뽑히지 못한 직원들은 인사.감사부서의 심의를 거쳐 퇴출후보군인 현장시정추진단에 배속된다.
서울시는 지난해부터 실시 중인 '무능.불성실 공무원 퇴출제'에 이어 내달 말 6급 이하 정기전보 인사에서 헤드헌팅.드래프트제를 전면 도입키로 했다고 27일 밝혔다.
헤드헌팅.드래프트제는 민간기업이나 스포츠계에서 보편화된 우수인력 채용방식으로 지명을 받지 못할 경우 실업자 신세가 된다.
서울시 관계자는 "지난해 실시한 3% 퇴출제에서는 실.국별로 내보내야 할 인력들을 전체 정원의 의무비율(3%)로 받아 일정 기준에 미달한 직원들을 현장시정추진단에 포함시켰다"며 "하지만 이번엔 인사 대상자를 확대해 이들을 대상으로 먼저 드래프트를 실시한 뒤 선택받지 못한 직원들로 추진단을 구성한다는 점에서 한 단계 진보한 개념"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조만간 전보기준심사위원회를 열어 인사 대상자의 범위를 확정할 방침이다.
서울시가 이 같은 인사안을 추진하게 된 것은 각 실.국별로 경쟁원리를 도입하기 위해서다.
각 실.국이 능력 있는 직원을 뽑아갈 수 있도록 해주는 대신 경쟁을 통해 제대로 된 성과를 내라는 것.서울시 관계자는 "프로 스포츠를 보면 각 구단이 승리(성과)를 위해 실력 있는 선수를 영입하는 데 총력을 기울인다"면서 "이번 제도 도입을 통해 각 실.국 간 경쟁도 보다 촉진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아울러 지난해 선발했던 현장시정추진단 102명 중 2차 교육 이수자 13명에 대해 다음 달 중 심사를 벌여 최종 퇴출 대상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102명 가운데 24명은 자진퇴직 등의 형태로 이미 퇴출됐으며 55명은 재교육을 거쳐 현업에 복귀했다.
나머지 10명은 신병치료 등의 사유로 휴직했으며 13명은 2차 재교육을 받았다.
한편 서울시는 지난해 4월 '3% 퇴출제'에 이어 '전직원 상시 평가제'와 '산하 공기업 CEO 성과계약제' 등 공무원 인사개혁안을 잇따라 도입했다.
특히 지난해 11월에는 2010년까지 총정원 기준 1300명을 줄이겠다는 강도 높은 구조조정안도 발표,주목을 받았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