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자본시장통합법을 앞두고 정부가 금융사에 대한 리스크 관리 기준을 강화하면서 테러나 재난 등에 대비한 비즈니스 연속성 관리(BCM) 컨설팅이 회계업계 틈새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삼일 안진 한영회계법인 등은 올해 정부 금융회사와 증권사 등 제2금융권이 발주할 100억원대 BCM컨설팅 사업 수주전에 나섰다.

BCM은 테러나 재난 등 돌발 사태가 발생할 때도 기업들이 업무를 정상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관리 체계로 2001년 9·11테러 이후 미국 영국 등 선진국에서 보편화됐다.

한국의 경우 금융노동조합 파업으로 인한 전산시스템 파행 운영 등으로 소비자들의 피해 사례가 늘어나면서 BCM이 각광받고 있다.

특히 금융감독원이 2006년 은행들을 대상으로 '영업연속성계획 모범 규준'을 제시한 데 이어 증권사에도 '리스크 관리 최소 기준'을 작년 4월 하달하며 금융사들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금융사들에 대한 BCM은 파업 등의 돌발 사태에 대비한 대체 사업장을 마련하는 것을 포함,전산시스템과 조직 인력 정보기술(IT) 데이터 등에 대한 대처 방안이 포함돼 있다.

안진회계법인은 비교적 일찍 이 시장에 발을 내디뎠다.

2006년부터 신한은행과 하나은행 등 은행권을 중심으로 BCM을 구축해 왔으며 최근엔 증권사 등 제2금융권으로 영역을 넓히기 위한 사전 작업을 활발히 벌이고 있다.

삼일회계법인도 지난해 컨설팅한 기업은행과 삼성생명이 위기 관리 면에서 대외적으로 인정받아 BCM 국제 인증을 국내에선 처음으로 획득했다.

임상택 기자 lim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