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흥증권→현대차IB증권 '굳히기' 작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흥증권이 '현대차IB증권'으로 사명을 바꿔 달고 본격적인 영업활동을 위한 '행동'에 들어갔다. 새로운 상호 굳히기 작전에 들어간 셈이다.
이에 따라 상호 문제로 틀어진 현대증권과의 갈등의 골이 더욱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1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신흥증권은 서울 여의도 본사를 포함해 전국 16개 지점의 기업이미지(CI) 교체 작업을 이날 완료했다. 또 지상파 방송 3사의 TV와 라디오 광고를 통해 '현대차IB증권' 알리기에 나섰다. 홈페이지는 기존 신흥증권(www.shs.co.kr) 사이트 대신, 현대차IB증권(www.hmcib.com) 사이트로 변경했다.
신흥증권은 다음주 중 현대차IB증권으로 주권 매매가 가능하도록 관련 절차를 밟고 있다. 변경 상장 이후 약자는 '현대차IB'가 유력하다.
지난달 28일 금융위원회가 현대차 그룹의 신흥증권 대주주 변경 신청을 승인한 이후, 신흥증권은 행보에 가속을 붙였다. 같은 달 31일 임시 주총을 열어 경영진 선임과 사명 변경안 등을 통과시키더니 하루만에 조직 개편과 CI변경 등을 속전속결로 처리했다.
'현대' 상호를 둘러싼 현대증권의 반발에 아랑곳하지 않고, 새로운 이름을 조기에 기정사실로 굳히겠다는 작전으로 보인다.
그러나 신흥증권의 이 같은 행보는 동종업계 내 2개의 '현대'는 안 된다는 현대증권을 더욱 자극할 전망이다.
신흥증권은 당초 '현대IB증권'으로 사명을 변경키로 했으나 현대증권이 상호 사용금지 가처분을 법원에 내자 지난달 28일 '현대차IB 증권'으로 상호를 또 한번 바꿨다. 신흥증권은 현대증권과의 관계를 고려했다고 설명했지만, 바뀐 상호 역시 현대증권과의 법적 분쟁에 따른 패소 가능성을 높게 본 것으로 추측된다.
현대증권 관계자는 "현대IB증권으로 변경키로 했을 때는 신흥증권과 사전 협의 과정이라도 있었으나, 현대차IB증권 변경에 대해서는 사전 협의는 커녕 들은 바도 없다"면서 목소리를 높였다.
이 관계자는 "동종 업계 내에서 '현대'라는 상호를 중복해 쓴다면 누가봐도 헛갈릴 게 분명하다"면서 "그룹 차원에서 '현대'를 상호에 집어 넣겠다는 입장은 업계를 잘 못 이해한 처사"라고 비난했다.
현대증권은 이에 따라 계속 문제제기를 해 나가면서 상호 사용금지 가처분 등의 법적 대응책을 강구중이다.
한경닷컴 안재광 기자 ahnjk@hankyung.com
이에 따라 상호 문제로 틀어진 현대증권과의 갈등의 골이 더욱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1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신흥증권은 서울 여의도 본사를 포함해 전국 16개 지점의 기업이미지(CI) 교체 작업을 이날 완료했다. 또 지상파 방송 3사의 TV와 라디오 광고를 통해 '현대차IB증권' 알리기에 나섰다. 홈페이지는 기존 신흥증권(www.shs.co.kr) 사이트 대신, 현대차IB증권(www.hmcib.com) 사이트로 변경했다.
신흥증권은 다음주 중 현대차IB증권으로 주권 매매가 가능하도록 관련 절차를 밟고 있다. 변경 상장 이후 약자는 '현대차IB'가 유력하다.
지난달 28일 금융위원회가 현대차 그룹의 신흥증권 대주주 변경 신청을 승인한 이후, 신흥증권은 행보에 가속을 붙였다. 같은 달 31일 임시 주총을 열어 경영진 선임과 사명 변경안 등을 통과시키더니 하루만에 조직 개편과 CI변경 등을 속전속결로 처리했다.
'현대' 상호를 둘러싼 현대증권의 반발에 아랑곳하지 않고, 새로운 이름을 조기에 기정사실로 굳히겠다는 작전으로 보인다.
그러나 신흥증권의 이 같은 행보는 동종업계 내 2개의 '현대'는 안 된다는 현대증권을 더욱 자극할 전망이다.
신흥증권은 당초 '현대IB증권'으로 사명을 변경키로 했으나 현대증권이 상호 사용금지 가처분을 법원에 내자 지난달 28일 '현대차IB 증권'으로 상호를 또 한번 바꿨다. 신흥증권은 현대증권과의 관계를 고려했다고 설명했지만, 바뀐 상호 역시 현대증권과의 법적 분쟁에 따른 패소 가능성을 높게 본 것으로 추측된다.
현대증권 관계자는 "현대IB증권으로 변경키로 했을 때는 신흥증권과 사전 협의 과정이라도 있었으나, 현대차IB증권 변경에 대해서는 사전 협의는 커녕 들은 바도 없다"면서 목소리를 높였다.
이 관계자는 "동종 업계 내에서 '현대'라는 상호를 중복해 쓴다면 누가봐도 헛갈릴 게 분명하다"면서 "그룹 차원에서 '현대'를 상호에 집어 넣겠다는 입장은 업계를 잘 못 이해한 처사"라고 비난했다.
현대증권은 이에 따라 계속 문제제기를 해 나가면서 상호 사용금지 가처분 등의 법적 대응책을 강구중이다.
한경닷컴 안재광 기자 ahnj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