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중앙부처 4급 이상 무보직 공무원 205명을 대상으로 특별교육에 착수한 데 이어 5급 이하 중.하위직 특별교육 대상자 1200~1300명을 이달 말께 추가 선정하기로 했다.

행정안전부는 1일 정부 조직 개편에 따른 구조조정 대상을 4급 이상에서 5급 이하 공무원으로까지 확대하기로 하고 중.하위직 중 교육 대상자 1200~1300명을 선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종 선정 시기는 총선이 끝나고 부처별 인사가 마무리되는 오는 21일이나 28일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4급 이상 공무원과 마찬가지로 중.하위직 공무원들도 6개월간의 교육을 받은 후 보직 발령 여부가 결정된다.

행안부 관계자는 "정부 조직 개편에 따라 잉여 인력으로 분류되는 인원은 대략 1800명 선이지만 명예퇴직자,의원면직자,휴직자,타 기관 전출자 등을 제외하면 1200~1300명가량이 교육을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다만 중.하위직의 경우 중앙공무원교육원의 수용 능력을 감안,3~4차로 나눠 대상자를 뽑아 한 번에 300명 정도를 교육시키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4급 이상 무보직 대기자 205명을 직급별로 보면 고위공무원단에 소속된 국장급 40명,3~4급 과장급 160명,특정직 5명이다.

부처별로는 교육과학기술부가 35명으로 가장 많다.

이어 국토해양부 32명,기획재정부 25명,행안부 22명이다.

이 밖에 총리실 5명,공정거래위원회 3명,국민권익위원회 10명,통일부 16명,문화체육관광부 18명,농림수산식품부 12명,보건복지가족부 8명,여성부 2명,노동부 1명,기상청 1명,소방방재청 2명,중소기업청 3명,행복도시건설청 4명,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3명 등이다.

김태철 기자 synerg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