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천 농림장관 "농기계부채, 농협이 나서달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운천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은 2일 "농협이 농업인 이익 환원 차원에서 농기계 부채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달라"고 촉구했다.
정 장관은 이날 서울 충정로 농협중앙회를 방문,임직원을 대상으로 가진 특강에서 이같이 밝혔다.
정 장관은 "현재 농업인들의 농기계 부채가 1조2000억원에 이른다"면서 "한 해 1조2000억~1조3000억원의 흑자를 내고 있는 농협중앙회가 농민들에게 이익을 나눠주는 차원에서 이 문제를 꼭 해결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그는 "대통령직 인수위 시절부터 지금까지 윗분들 사이에서 이 같은 여론이 강하다"고 덧붙였다. 정 장관의 이런 발언은 농협이 농업인들을 대신해 농기계를 구입해주고,이를 통한 임대사업을 전개해달라는 주문으로 해석된다.
농협 관계자는 이에 대해 "정확한 농기계 부채 현황 파악이 마무리되면 정부와 구체적 지원 형태나 기준 등을 논의해 이달 말쯤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부채 해결 방안으로는 농협이 빚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갚아주는 조건으로 농업인들의 농기계를 인수한 뒤,이를 경영자의 관점에서 적시적소에 임대해주는 방식이 검토될 전망이다.
하지만 정부가 농협에 이런 요청을 하는 것이 무리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정 장관이 농협의 지원 여력을 강조하기 위해 1조원이 넘는 순이익 규모를 거론했지만 법적으로 손을 댈 수 없거나 쓸 곳이 정해진 돈이 많기 때문이다. 우선 지난해 이익 잉여금 가운데 6500억원 정도는 새로운 사업 준비나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 등을 고려해 법정적립금과 일반사업준비금으로 쌓아둬야 한다. 또 1400억원 정도는 소속 개별 농협에 배당금으로 지급될 예정이다.
결국 농기계 부채 지원을 하려면 '임의적립금'(작년 4100억원) 항목에서 재원을 마련해야 하는데 이마저도 상당 부분이 영농자금 지원이나 신용.경제부문 분리 준비 작업 등에 사용돼야 하는 실정이다.
농협 관계자는 "임의적립금의 사용처를 조정해 돈을 마련할지,아니면 다른 재원대책을 강구할지를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인식 기자 sskiss@hankyung.com
정 장관은 이날 서울 충정로 농협중앙회를 방문,임직원을 대상으로 가진 특강에서 이같이 밝혔다.
정 장관은 "현재 농업인들의 농기계 부채가 1조2000억원에 이른다"면서 "한 해 1조2000억~1조3000억원의 흑자를 내고 있는 농협중앙회가 농민들에게 이익을 나눠주는 차원에서 이 문제를 꼭 해결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그는 "대통령직 인수위 시절부터 지금까지 윗분들 사이에서 이 같은 여론이 강하다"고 덧붙였다. 정 장관의 이런 발언은 농협이 농업인들을 대신해 농기계를 구입해주고,이를 통한 임대사업을 전개해달라는 주문으로 해석된다.
농협 관계자는 이에 대해 "정확한 농기계 부채 현황 파악이 마무리되면 정부와 구체적 지원 형태나 기준 등을 논의해 이달 말쯤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부채 해결 방안으로는 농협이 빚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갚아주는 조건으로 농업인들의 농기계를 인수한 뒤,이를 경영자의 관점에서 적시적소에 임대해주는 방식이 검토될 전망이다.
하지만 정부가 농협에 이런 요청을 하는 것이 무리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정 장관이 농협의 지원 여력을 강조하기 위해 1조원이 넘는 순이익 규모를 거론했지만 법적으로 손을 댈 수 없거나 쓸 곳이 정해진 돈이 많기 때문이다. 우선 지난해 이익 잉여금 가운데 6500억원 정도는 새로운 사업 준비나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 등을 고려해 법정적립금과 일반사업준비금으로 쌓아둬야 한다. 또 1400억원 정도는 소속 개별 농협에 배당금으로 지급될 예정이다.
결국 농기계 부채 지원을 하려면 '임의적립금'(작년 4100억원) 항목에서 재원을 마련해야 하는데 이마저도 상당 부분이 영농자금 지원이나 신용.경제부문 분리 준비 작업 등에 사용돼야 하는 실정이다.
농협 관계자는 "임의적립금의 사용처를 조정해 돈을 마련할지,아니면 다른 재원대책을 강구할지를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인식 기자 sskis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