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소유 금융회사들의 민영화 방안을 놓고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가 그야말로 '쎄게' 붙었다.

언론들은 두 부처 간 논란을 두고 '충돌' '엇박자' '계파 갈등' '주도권 다툼' 등으로 묘사하고 있다.

새 정부가 출범하면서 단행한 조직개편 결과 탄생한 핵심부처 간 갈등이니 그럴 만도 하다.

두 부처 모두 '바람직한 정책 방향'을 고민하고 있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물론 그럴 수도 있다.

하지만 제3자들은 논란의 핵심이 어차피 주도권이라는 사실을 너무도 잘 알고 있다.

전광우 금융위원장은 이들 금융사의 처리 문제는 '금융위 몫'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그럴듯한 주장이지만 반드시 그렇지만도 않다.

재정부가 공공기관운용에 관한 법률을 들어 공기업 민영화의 최종 권한이 재정부 장관에게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으니 말이다.

양측의 주장이 팽팽하다 보니 서로 머리를 맞대는 분위기는 기대할 수도 없다.

서로의 주장이 언론을 통해서만 오가더니,마침내 이명박 대통령이 주재하는 회의에서 갈등을 노출하고 말았다.

결국 4월 중순까지 정부 단일안을 만들어 보겠다던 얘기도 물 건너갔다는 느낌이다.

양 부처는 서로 자신들의 주장만 거듭할 뿐이다.

더욱이 자신들의 주장을 합리화시키기 위해 외부 연구기관에 용역을 맡긴 곳도 있다고 한다.

늘 그렇듯 답이 미리 주어져 있는 용역일 것이다.

두 부처가 다투는 가운데 금융권도 서로 이견을 노출하며 갈등을 빚고 있다.

당사자들은 메가뱅크의 주도권을 쥐겠다며 설전을 벌이고 있고,주도권을 못 쥘 것 같은 은행들은 노조까지 들고 나와 반대투쟁을 벌이고 있다.

시중은행들은 시중은행대로 메가뱅크 등장에 걱정부터 하고 있다.

차라리 두 부처가 공청회를 함께 개최하든지,아니면 공동 용역을 맡기든지 해보자는 얘기는 이래서 나온다.

한 나라의 금융산업에 메가톤급 변수가 될 사안이 두 부처의 주도권 다툼으로 결론 나서는 곤란하지 않는가.

언제나 그렇듯 정부 기관이 맞붙으면 피해는 민간이 보게 돼 있다.

현명한 판단을 기대해 본다.

정재형 경제부 기자 j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