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 '투자 해일'이 밀려온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분기 4000억달러로 20% 이상 증가
올 들어 원자재(상품)시장에 투자자금이 '해일'처럼 밀려 들어오고 있다.
인플레이션과 달러 약세를 헤지(위험회피)하는 수단으로 원자재 투자가 각광받고 있는 것이다.
원자재시장에 몰린 자금은 가격을 끌어올려 물가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7일 씨티그룹 자료를 인용해 올 1분기 세계 원자재 투자가 20% 이상 늘어나 3월말 현재 총 투자액이 4000억달러에 달했다고 보도했다.
씨티그룹에 따르면 1분기 원자재 투자 가운데 가장 많은 돈을 끌어모은 상품은 원자재지수로 400억달러에 달했다.
1분기 증가분은 지난해 전체 증가액보다도 많은 것이다. 이에 따라 3월 말 현재 원자재지수 투자규모는 1850억달러에 달했다.
상품거래 전문가들을 통해 직접 투자된 자금이 상품지수 뒤를 따랐다.
지난해 말에 비해 18% 늘어난 940억달러를 기록했다.
헤지펀드가 그 뒤를 이어 1분기 말 현재 750억달러를 상품에 투자 중인 것으로 추산됐다.
헤지펀드의 상품 투자 규모는 지난해 말보다 25% 늘어났다.
상장지수펀드(ETF)도 원자재 관련 투자가 확대되면서 3월 말 현재 투자액이 460억달러로 지난해 말보다 31%가량 증가했다.
원자재 투자 열기 등으로 상품지수는 고공행진을 벌이고 있다.
26개 원자재를 기준으로 산정되는 UBS블룸버그상품지수의 경우 올 들어 약 17%가 올랐으며 지난달 5일에는 사상 최고치에 근접하기도 했다.
UBS블룸버그상품지수는 지난해에도 22% 뛰어 6년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다.
19개 상품 가격을 반영한 로이터-제프리CRB지수도 3월 초 고점을 찍은 뒤 다소 주춤해지긴 했지만 올 들어 12.7% 올랐다.
S&P500지수가 작년에 3.5% 상승하는 데 그치고 올 들어 오히려 6.5% 하락한 것과 비교하면 대조적이다.
이는 원유 금 플래티늄 밀 옥수수 콩 선물 등 상품지수를 구성하는 상당수 원자재와 곡물 가격이 올 들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강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국제유가의 경우 이날 뉴욕상품거래소(NYMEX)에서 2.7% 급등한 배럴당 109.09달러(서부텍사스산 최근월물 기준)에 거래됐다.
압둘라 알 바드리 석유수출국기구(OPEC) 사무총장이 증산 계획이 없다고 발언한 데 영향을 받았다.
지난달 13일 사상 최고치인 배럴당 110.33달러까지 급등했다가 100달러 초반대로 내려갔던 유가가 다시 강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골드만삭스는 향후 6개월간 설탕을 제외한 전 곡물값이 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씨티그룹의 앨런 힙 애널리스트와 알렉스 통스 애널리스트는 "상품시장의 투자 해일이 원자재 가격을 더 밀어올렸다"며 "달러 약세가 상품시장에 자금을 끌어들인 가장 큰 배경이고,실질금리 하락과 인플레이션 우려도 일조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그러나 "투자 해일 후 썰물(투자자금 이탈) 조짐도 나타나고 있다"며 "미국 경기침체로 원자재 수요가 줄어든다면 상품 투자 붐이 일시적인 현상에 그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박성완 기자 psw@hankyung.com
인플레이션과 달러 약세를 헤지(위험회피)하는 수단으로 원자재 투자가 각광받고 있는 것이다.
원자재시장에 몰린 자금은 가격을 끌어올려 물가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7일 씨티그룹 자료를 인용해 올 1분기 세계 원자재 투자가 20% 이상 늘어나 3월말 현재 총 투자액이 4000억달러에 달했다고 보도했다.
씨티그룹에 따르면 1분기 원자재 투자 가운데 가장 많은 돈을 끌어모은 상품은 원자재지수로 400억달러에 달했다.
1분기 증가분은 지난해 전체 증가액보다도 많은 것이다. 이에 따라 3월 말 현재 원자재지수 투자규모는 1850억달러에 달했다.
상품거래 전문가들을 통해 직접 투자된 자금이 상품지수 뒤를 따랐다.
지난해 말에 비해 18% 늘어난 940억달러를 기록했다.
헤지펀드가 그 뒤를 이어 1분기 말 현재 750억달러를 상품에 투자 중인 것으로 추산됐다.
헤지펀드의 상품 투자 규모는 지난해 말보다 25% 늘어났다.
상장지수펀드(ETF)도 원자재 관련 투자가 확대되면서 3월 말 현재 투자액이 460억달러로 지난해 말보다 31%가량 증가했다.
원자재 투자 열기 등으로 상품지수는 고공행진을 벌이고 있다.
26개 원자재를 기준으로 산정되는 UBS블룸버그상품지수의 경우 올 들어 약 17%가 올랐으며 지난달 5일에는 사상 최고치에 근접하기도 했다.
UBS블룸버그상품지수는 지난해에도 22% 뛰어 6년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다.
19개 상품 가격을 반영한 로이터-제프리CRB지수도 3월 초 고점을 찍은 뒤 다소 주춤해지긴 했지만 올 들어 12.7% 올랐다.
S&P500지수가 작년에 3.5% 상승하는 데 그치고 올 들어 오히려 6.5% 하락한 것과 비교하면 대조적이다.
이는 원유 금 플래티늄 밀 옥수수 콩 선물 등 상품지수를 구성하는 상당수 원자재와 곡물 가격이 올 들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강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국제유가의 경우 이날 뉴욕상품거래소(NYMEX)에서 2.7% 급등한 배럴당 109.09달러(서부텍사스산 최근월물 기준)에 거래됐다.
압둘라 알 바드리 석유수출국기구(OPEC) 사무총장이 증산 계획이 없다고 발언한 데 영향을 받았다.
지난달 13일 사상 최고치인 배럴당 110.33달러까지 급등했다가 100달러 초반대로 내려갔던 유가가 다시 강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골드만삭스는 향후 6개월간 설탕을 제외한 전 곡물값이 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씨티그룹의 앨런 힙 애널리스트와 알렉스 통스 애널리스트는 "상품시장의 투자 해일이 원자재 가격을 더 밀어올렸다"며 "달러 약세가 상품시장에 자금을 끌어들인 가장 큰 배경이고,실질금리 하락과 인플레이션 우려도 일조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그러나 "투자 해일 후 썰물(투자자금 이탈) 조짐도 나타나고 있다"며 "미국 경기침체로 원자재 수요가 줄어든다면 상품 투자 붐이 일시적인 현상에 그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박성완 기자 ps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