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런 버핏과 같은 세계적인 슈퍼 리치들은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다 확실한 수익을 내는 방법으로 'S자형 투자이론'을 중시한다.

이 이론은 원래 사람의 성장곡선에서 유래했다.

모든 신기술과 제품은 시장 점유율을 일일이 측정하지 않아도 서서히 틈새 시장을 파고든다.

일단 소비자와 가정 속에 10% 정도가 보급되고 나면 급속히 퍼져 나가는 큰 흐름을 이룬다.

즉 한 제품이 시장을 10% 점하는 데 걸리는 시간과 이후 90%를 점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같다는 것이 이 이론의 핵심이다.

자동차의 경우를 예로 들어보자.자동차는 1886년 처음 발명 이후 1900년께부터 대중화하기 시작했다.

이때부터 당시 자동차를 소유할 수 있었던 고소득 틈새 시장을 파고들기 시작해 1914년께는 10%를 차지했다.

그 후 자동차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해 꼭 14년 만인 1928년께는 90%에 도달했다.

요즘 다시 주목받고 있는 해리 S 덴트의 버블론 개정판에서 2009년까지 주식 등 자산시장의 호황이 지속될 것으로 보는 것도 인구통계학적 관점에서 1990년대 후반부터 경제활동을 주도하고 있는 베이비 붐 세대의 소비가 지속될 것이라는 점과 현재 주력 산업인 정보기술(IT)의 보급률이 이때까지 90%에 달할 정도로 급신장할 것이라는 'S자형 이론'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 이론이 나오게 된 가장 큰 배경은 어떤 신기술과 제품의 보급률이 10%에 달하면 그 이후에는 요즘 월가의 최대 뉴스 메이커인 구글의 조지 레이에스가 언급해 유명해진 '대수의 법칙(law of large numbers)'이 적용되기 때문이다.

대수의 법칙이란 매출이 100억원이던 기업이 다음 해 150억원이 될 경우 매출 증가률은 50%다.

그 다음 해에 50% 성장하려면 75억원,그 다음 해에는 112억원으로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야 가능하다는 이론이다.

결국 이 이론에 따르면 어떤 기술과 제품이든 초기에 앞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불확실한 상황에서 일단 보급률이 10%에 달하면 확신을 갖고 중장기적인 안목에서 투자해 놓을 경우 높은 수익을 기대해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현 시점에서 'S자형 이론'을 국내 시장에 적용해 보면 일반 국민들에게는 부동산과 주식보다는 채권에 대한 인식이 낮다.

주식시장에서는 구글처럼 보급률이 10%에 도달한 이후 급성장하는 신기술과 상품이 언제든지 나올 수 있다.

증시 재료 면에서도 인수·합병(M&A)은 아직까지 시작에 불과하다.

한 가지 주목할 것은 글로벌 투자 수단이다.

일반 국민들 입장에서 글로벌 투자 수단에 대한 인식은 일부 계층에 국한될 정도도 낮다.

또 제도적으로 해외 투자가 사실상 자유화됐다.

'S자형 이론'에 근거한다면 앞으로는 해외 부동산 투자와 해외 펀드 가입을 중심으로 모든 투자 수단의 글로벌화가 빠르게 진전될 것으로 보인다.

한상춘 객원 논설위원 겸 미래에셋투자교육연구소 부소장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