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과 기업은행 우리금융 등을 하나로 묶어 매각하는 '메가뱅크'식 민영화 방안도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 간 협의채널이 조만간 구축될 예정이어서 채택 여부가 이르면 다음 달 중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본지 3월12일자 A1,3면 참조
정부 관계자는 10일 "그동안 공기업 개혁과 관련돼 많은 준비를 해 왔다"면서 "총선이 끝난 만큼 다음 주께 청와대나 기획재정부를 통해 민영화 추진 일정을 확정,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내주 발표될 민영화 계획은 개별 기관의 처리방향을 밝히는 것은 아니고 민영화 일정을 담게 될 것"이라며 "공기업 개혁에 속도를 내라는 이명박 대통령의 주문에 따라 민영화 일정 발표 시점이 상당기간 당겨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정부는 11일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정책조정회의를 열어 공기업 민영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현재 정부는 305개 공공기관 가운데 민영화가 불가능하거나 실익이 적은 곳을 제외한 88개 기관을 민영화 우선추진 대상으로 검토하고 있다.
이 관계자는 "상황에 따라서는 1∼2개 정도는 공공기관 민영화 전체 계획이 발표되기 전에 매각작업을 시작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또 민영화 대상에서 제외되는 공공기관을 하나로 묶어 관리하는 '정부투자 지주회사'도 최대한 빨리 출범시킬 방침이다.
이 지주회사에는 민영화 대상에서 제외되는 공공기관들이 모두 자회사로 편입된다.
민영화 대상으로 선정되는 기관은 소관부처 지휘 아래 지분매각이 이뤄지며,지분 매각대금은 전액 지주회사에 출자된다.
'한국판 테마섹'이라고 불리는 이 지주회사는 정부 부처들이 개별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각 공공기관을 상업적 베이스에서 통합 관리하는 관리회사인 동시에 국내외 자산에 투자해 수익을 챙기는 투자회사다.
정부 소유 금융사를 민영화하는 방안도 부처 간 협의가 빠르게 진행될 전망이다.
정부 관계자는 "금융 공기업은 금융위 소관이지만 공공기관 민영화 관점에서 보면 재정부도 관련이 있기 때문에 양자 간 협의가 있어야 한다"며 "조만간 협의채널을 만들기로 했다"고 말했다.
박수진/김인식 기자 notwom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