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지 가격 '천정부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묘원조성 어려워 공급 큰폭 감소탓
지난 주말 한식을 맞아 충남 천안의 한 공원묘원에 성묘갔던 이모씨(46)는 납골묘를 하나 더 구입하려고 가격을 물어봤다가 깜짝 놀랐다.
3년 전에 비해 두 배 이상 뛰었기 때문이다.
이씨가 3000만원에 사들였던 52기용 납골묘를 지금 분양받으려면 6400만원을 내야 한다는 게 공원묘원 측의 설명이었다.
뿐만 아니라 3년 전에는 없었던 '관리비'가 신설돼 추가 부담도 만만치 않았다.
15년마다 관리비를 내도록 규정이 바뀌어 52기용 납골묘를 60년간 사용하려면 약 1200만원을 별도로 물어야 할 판이었다.
묘지 가격 상승세가 심상치 않다.
11일 전국 공원묘원 업체들에 따르면 수도권과 충청권 일원 묘지 가격은 3년 전에 비해 적게는 50%,많게는 두 배 이상 오른 상태다.
상승세는 봉분으로 된 매장형 묘지와 화장한 유골을 담아두는 납골형 묘지(봉안묘)를 가리지 않는다.
경기도 양평군 팔당공원묘원의 1인용 묘지 가격은 3년 전 437만원(2005년 한국소비자원 조사)에서 현재 877만원으로 두 배 정도 뜀박질했다.
경기도 광주시에 위치한 삼성개발공원묘원 1인용 묘지 가격도 619만원에서 972만원으로 57%나 상승했다.
경기도 고양시의 납골당인 자유로청아공원 1인 안치 비용은 450만~600만원 선(중간층 기준)으로 3년 전에 비해 50~100% 올랐다.
묘지 가격이 오르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공급이 크게 달리기 때문이다.
전국공원묘원협회에 따르면 전국의 사설 공원묘원(재단법인 소유)은 모두 120곳으로 지난 3년간 단 한 곳밖에 늘어나지 않았다.
새로 묘원을 조성하려고 해도 지역 주민들의 반대가 심해 지방자치단체들이 허가 내주기를 꺼리고 있어서다.
이창근 공원묘원협회 사무국장은 "3년 전 개장한 충남 예산의 공원묘원도 10여년 전 미리 허가를 받아둬 설립이 가능했던 것"이라며 "공급이 절대적으로 부족해 수도권은 물론 지방도 대부분 묘지가 포화상태"라고 설명했다.
묘지를 치장하고 납골당을 만드는 데 들어가는 석재 등 원자재값 인상도 묘지 가격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
묘지 분양 업체 천지장묘테크 관계자는 "납골당 등을 만드는 데 주로 사용되는 중국산 석재 가격이 지난 2년간 30~50%가량 급등했다"고 전했다.
여기에 참여정부 당시 '국토균형발전'이란 명분으로 발표된 각종 개발 계획도 묘지 가격 급등으로 이어졌다는 지적이다.
묘지 가격이 급상승하면서 일부에서는 '재테크'에 빗대 미리 묘지를 사두는 '묘(墓)테크'에 나서야 하는 것 아니냐는 푸념까지 나오고 있다.
더 오르기 전에 구입해 자손들의 부담을 줄여주고 시세 차익도 기대하는 것이 편안한 노후 대비책이란 의미다.
관계 당국도 행정지도 등을 통한 가격 억제 유도 등 제한적인 대책밖에 없는 실정이다.
보건복지가족부 관계자는 "공급이 크게 늘지 않는 이상 묘지 가격 상승세를 제어하는 데 한계가 있다"면서 "내달 26일부터 수목장 등 자연장이 합법화되는 만큼 묘지 수요가 줄어들기를 기대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
3년 전에 비해 두 배 이상 뛰었기 때문이다.
이씨가 3000만원에 사들였던 52기용 납골묘를 지금 분양받으려면 6400만원을 내야 한다는 게 공원묘원 측의 설명이었다.
뿐만 아니라 3년 전에는 없었던 '관리비'가 신설돼 추가 부담도 만만치 않았다.
15년마다 관리비를 내도록 규정이 바뀌어 52기용 납골묘를 60년간 사용하려면 약 1200만원을 별도로 물어야 할 판이었다.
묘지 가격 상승세가 심상치 않다.
11일 전국 공원묘원 업체들에 따르면 수도권과 충청권 일원 묘지 가격은 3년 전에 비해 적게는 50%,많게는 두 배 이상 오른 상태다.
상승세는 봉분으로 된 매장형 묘지와 화장한 유골을 담아두는 납골형 묘지(봉안묘)를 가리지 않는다.
경기도 양평군 팔당공원묘원의 1인용 묘지 가격은 3년 전 437만원(2005년 한국소비자원 조사)에서 현재 877만원으로 두 배 정도 뜀박질했다.
경기도 광주시에 위치한 삼성개발공원묘원 1인용 묘지 가격도 619만원에서 972만원으로 57%나 상승했다.
경기도 고양시의 납골당인 자유로청아공원 1인 안치 비용은 450만~600만원 선(중간층 기준)으로 3년 전에 비해 50~100% 올랐다.
묘지 가격이 오르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공급이 크게 달리기 때문이다.
전국공원묘원협회에 따르면 전국의 사설 공원묘원(재단법인 소유)은 모두 120곳으로 지난 3년간 단 한 곳밖에 늘어나지 않았다.
새로 묘원을 조성하려고 해도 지역 주민들의 반대가 심해 지방자치단체들이 허가 내주기를 꺼리고 있어서다.
이창근 공원묘원협회 사무국장은 "3년 전 개장한 충남 예산의 공원묘원도 10여년 전 미리 허가를 받아둬 설립이 가능했던 것"이라며 "공급이 절대적으로 부족해 수도권은 물론 지방도 대부분 묘지가 포화상태"라고 설명했다.
묘지를 치장하고 납골당을 만드는 데 들어가는 석재 등 원자재값 인상도 묘지 가격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
묘지 분양 업체 천지장묘테크 관계자는 "납골당 등을 만드는 데 주로 사용되는 중국산 석재 가격이 지난 2년간 30~50%가량 급등했다"고 전했다.
여기에 참여정부 당시 '국토균형발전'이란 명분으로 발표된 각종 개발 계획도 묘지 가격 급등으로 이어졌다는 지적이다.
묘지 가격이 급상승하면서 일부에서는 '재테크'에 빗대 미리 묘지를 사두는 '묘(墓)테크'에 나서야 하는 것 아니냐는 푸념까지 나오고 있다.
더 오르기 전에 구입해 자손들의 부담을 줄여주고 시세 차익도 기대하는 것이 편안한 노후 대비책이란 의미다.
관계 당국도 행정지도 등을 통한 가격 억제 유도 등 제한적인 대책밖에 없는 실정이다.
보건복지가족부 관계자는 "공급이 크게 늘지 않는 이상 묘지 가격 상승세를 제어하는 데 한계가 있다"면서 "내달 26일부터 수목장 등 자연장이 합법화되는 만큼 묘지 수요가 줄어들기를 기대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