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특보 박희태.특임장관 맹형규 거론 … 與 집단지도체제도 고려

총선결과를 토대로 여권이 본격적인 체제 정비에 나섰다.

당.청 간의 소통이 원활치 못했다는 지적에 따라 당 중진을 정치특보와 장관에 임명하는 등 청와대 정무기능을 대폭 보강하는 한편 박근혜 전 대표의 정치적 실체를 인정한다는 차원에서 집단지도체제 도입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친이 측 핵심 의원은 11일 "강재섭 대표 체제 이후 집단지도체제를 생각할 필요가 있다"며 "당헌을 개정해서 집단지도체제로 전환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지금도 일종의 절충형 집단지도체제이지만 완전한 합의제로 가자는 것"이라면서 "앞으로 한나라당 내에서 이 같은 목소리가 삼삼오오 만들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나라당 지도부는 현재 7명의 최고위원으로 구성돼 있으며 강 대표가 대표최고위원직을 맡고 있다.

친이 측의 또 다른 의원은 "강 대표의 총선 불출마,이재오 전 최고위원의 낙선 등으로 인해 당 지도부가 와해된 상태"라며 "친박 측도 사람을 내 지도부를 구성하는 게 당내 견제와 긴장관계 유지 차원에서 좋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이재오 전 최고위원의 낙마로 마땅한 대타가 없는 만큼 차제에 박 전 대표 측의 실체를 인정,권력 분점 형태로 가는 게 당 화합차원에서도 바람직하다는 논지다.

당.청도 새 정부 조각 과정에서 여러가지 문제점을 노정했던 청와대 정무기능의 보강을 추진하고 있다.

청와대는 이미 대통령 정치특보와 특임장관 인선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특보에는 박희태 의원이,특임장관에는 맹형규 의원이 각각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정진석 의원도 특임장관 후보로 검토되고 있다.

이들 인사로 정무라인이 구축되면 여권의 정무기능이 크게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정치특보는 각종 정치현안에 대한 조언 역할을,특임장관은 여야 간 정치적 사안에 대한 조정 역할을,정무수석은 이 대통령에 대한 정무적 보좌 역할을 맡는 등 각각의 기능을 중첩적으로 분화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여권 관계자는 "정치특보는 풍부한 정치적 경험과 경륜을 가진 인사를 최우선으로 고려할 것"이라며 "그는 정치 현안에 대한 여론 수렴은 물론 이 대통령에게 허심탄회하게 조언과 건의를 하는 역할을 맡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임장관에 대해서는 "여권 내는 물론 야권과도 두루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인사를 찾고 있다"면서 "향후 정무 관계의 중요성을 감안해 정무라인을 조기에 구축.가동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홍열/박수진 기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