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공단지 귀한 몸…지자체, 각종혜택·지원 팍팍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농공단지가 지역경제를 이끄는 새로운 동력으로 화려하게 변신 중이다.
기업들의 외면으로 불과 2~3년 전만 해도 텅텅 비었던 농공단지가 이제는 남아 있는 필지가 거의 없을 정도로 인기다.
분양가가 저렴한 데다 다른 산업단지에 비해 자금 및 세제 지원이 많아 본사를 이곳으로 이전하는 업체도 줄을 잇고 있다.
그동안 꾸준한 교통망 개선으로 조성 당시 비교적 열악했던 입지 여건이 크게 나아진 점도 농공단지가 주목받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혜택 많고 적기에 공급 가능
농공단지는 1984년 '농어촌소득원개발촉진법'을 근거로 농촌지역에 조성된 소규모 공단을 의미한다.
주로 도시와 농어촌 간 소득 격차를 줄이기 위해 농촌의 유휴인력을 이용한 농산물 임가공 업체 등을 유치해 왔다.
공해 업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업종 제한이 없으며 입지 여건이 나빠 그리 주목을 받지 못했다.
하지만 지방으로 이전하려는 수도권 중소 제조업체들이 늘면서 예전에는 부각되지 못한 장점들이 크게 어필하고 있다.
농공단지는 대부분 30만㎡ 이하 소규모여서 2~3년이면 개발이 끝나 공장용지의 적기 공급이 가능하다.
보통 조성에 4~6년 걸리는 지방산업단지와 비교하면 행정 절차가 간편하기 때문이다.
또 국가산단이나 지방산단 등 다른 산단에는 부여하지 않는 다양한 세제 및 금융 지원책도 장점이다.
농공단지 입주 업체에는 시설자금(20억원 이내)과 운전자금(5억원) 등이 5년 거치,10년 상환 조건으로 지원된다.
분양가가 싼 것도 큰 장점이다.
농촌지역이어서 땅값이 저렴하고 규모가 작아 도로 등 기반시설 비용이 크게 들지 않는다.
전남도에서 개발한 농공단지의 경우 3.3·당 분양가가 10만원 선이지만 지방산단은 20만~30만원 선에 이른다.
여수의 국가산단은 분양가가 50만원에 달한다.
전남대 경제학부 박광서 교수는 "지난 수십년간 도로망이 크게 나아져 농공단지의 가장 큰 단점이던 입지 여건의 불리함이 크게 해소되면서 농공단지의 인기가 급상승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농공단지로 본사 이전 줄이어
대도시권에 있던 본사를 농공단지로 옮기는 사례가 줄을 잇고 있다.
자동차부품 전용단지로 성장하고 있는 전북 김제의 대동농공단지에는 지난해 인천 남동공단의 한우단조,울산의 한국몰드 등이 본사를 옮겨와 가동 중이다.
가정용 의료기 생산업체인 누가의료기는 늘어나는 수출 물량을 감당하기 위해 경기도 광주의 공장을 팔고 최근 강원도 원주 동화농공단지로 이전했다.
경남 김해 진영농공단지의 자동차부품 업체인 동신모텍,진주 사봉농공단지의 건설기계부품 업체인 성동산업,충남 공주 검상농공단지의 식품제조 업체인 대덕바이오 등도 최근 농공단지로 본사를 옮긴 업체들이다.
충남 천안백석농공단지에서 광학렌즈 코팅재료 등을 생산하는 유스테크코리아 임승룡 대표는 "기존 공장을 팔아 농공단지에 더 넓은 부지를 확보할 수 있는 데다 정부의 각종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등 장점이 많다"고 설명했다.
◆농공단지 개발 붐
농공단지의 인기가 급상승하자 기존 농공단지에는 비어 있는 용지가 거의 동이 났다.
한국산업단지공단에 따르면 전국 359개 농공단지 중 부산 대구 광주 울산 경기 충북 제주의 경우 여분이 하나도 없다.
충남 전남 전북 경남 등도 평균 98%대 이상의 분양률을 보이고 있다.
분양률에는 현재 조성 중인 농공단지도 포함돼 있어 기존 농공단지는 사실상 분양이 모두 마감된 상태다.
전남 곡성군 관계자는 "곡성농공단지는 분양이 이미 끝났지만 매일 2~3건 이상 입주 문의가 오고 있다"고 전했다.
수요가 넘치면서 새로운 농공단지 개발도 붐을 이루고 있다.
조성을 추진 중이거나 오는 2014년까지 계획 중인 농공단지는 전국에 모두 70여개.이 중 24곳이 민자로 개발을 진행 중이다.
부동산개발 업체인 나래랜드피아는 전남 나주시 문평면 옥당리 일대 6만9000㎡에 69억원을 투입해 문평농공단지를 개발하기로 하고 지난달 24일 착공했다.
충남의 경우 세아산업이 홍성군에서 추진 중인 갈산농공단지 12만1000㎡가 올해 말 완공할 예정으로 있는 등 모두 14개 농공단지가 민자로 개발되고 있다.
전주대 부동산학과 김종진 교수는 "기업을 유치해 지역경제를 발전시키려는 지자체와 농공단지를 주력 사업으로 키우려는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고 있다"면서 "경제 상황이 더 악화되지 않는다면 고속도로 주변 등 거점 지역을 중심으로 한 농공단지 개발이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광주=최성국/대전=백창현/부산=김태현 기자 skcho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