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례대표의 비례는 '비밀스런 예우'의 준말인가.

18대 총선의 일부 비례대표 당선자들을 놓고 '比例대표가 아닌 秘禮대표'가 아니냐는 비판적인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비리 혐의,학력 과장 의혹 등 일부 당선자에 대한 자격 시비뿐 아니라 '돈 공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급조 공천,밀실 공천에 따른 후유증이다.

통합민주당 비례대표 6번으로 공천받은 정국교 당선자가 대표적이다.

그는 하드디스크 부품을 만드는 H&T의 대표다.

지난해 우즈베키스탄과 태양열에너지 사업 관련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파기하는 과정에서 주가를 조작했다는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고 있다.

스스로는 "별 문제가 없고 성실히 수사를 받겠다"고 말하고 있지만 당 관계자들은 영 찜찜한 눈치다.

반대로 15번 김유정 당선자는 박상천 공동대표의 측근으로 1년 남짓한 당료 경력에도 당선권에 배치돼 형평성 논란이 일고 있다.

후보자 등록 일주일 전 급조된 친박연대에서는 비례대표 1번이 여러 가지 의혹에 휩싸였다.

이번 총선의 최연소 당선자인 양정례 당선자(31)는 당의 당초 소개와는 달리 '박사모' 전 회장도 아니고,연세대 졸업이라는 학력도 과장됐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에 당사자는 "박 전 대표를 지지하는 사조직의 일원인데 당에서 잘못 기재한 것이며,학력은 논문이 필요없는 법무대학원을 졸업했다"고 해명했다.

정 당선자와 양 당선자는 공천 과정에서 특별 당비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유창재 기자 yooc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