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투자심리가 3분기 연속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ING자산운용이 발표한 아시아지역의 분기별 투자심리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1분기 한국의 투자심리지수는 96으로 전분기 대비 17포인트(15.0%) 하락해 아시아지역 13개 시장 중 투자 심리지수 조사 결과에 있어 9위를 차지했다.

한국은 지난해 3분기 137을 기록했지만 4분기에는 113으로 떨어진 바 있어 3분기 연속 투자심리가 냉각된 셈.

ING가 분기별로 발표하는 ING투자심리지수(ING Investor sentiment Index)는 아시아 전 지역(일본 제외)을 대상으로 투자자행동과 예측을 바탕으로 한다.

아시아지역 전체 투자심리지수는 지난 4분기 135를 기록했던 것에 비해 10포인트가 감소한 125를 나타냈다.

이는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관련 위기가 초래한 미국 경기 후퇴와 세계적인 신용경색 등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가장 큰 폭으로 하락한 시장은 홍콩과 싱가포르다. 홍콩은 지난 분기 148에서 107로 하락했으며, 싱가포르는 136에서 88로 하락했다.

반면 중국, 인도는 각각 136과 168로 높은 수치를 기록해 시장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지난 3월 새 정부를 구성한 타이완의 투자심리가 지난 분기 83에서 105로 대폭 상승했다.

한편 향후 전망에 대해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조금 더 두고 보자'는 견해와 함께 낙관적인 입장이 대부분이었다. 또 투자성향은 보수적인 입장이 늘어났다.

한국은 전체 응답자 100명중 41명이 현금/예금에 투자할 것이라고 대답해 보수적 투자 성향이 대부분을 보였으며 주식은 32명이었다. 펀드 투자에 있어서도 MMF나 인덱스 펀드와 같이 위험도가 덜한 곳에 투자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홍 ING자산운용 대표이사는 "한국의 투자심리 위축은 서브프라임 사태에 큰 영향을 받는데다 개인 및 가계 재정상태의 어려움이 겹쳤기 때문"이라며 "하지만 새로 선출된 이명박 대통령의 선거 공약이었던 연 7% 성장에 대한 기대 심리가 향후 투자 심리 회복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기를 기대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 2월 인터넷 설문조사와 대면 인터뷰를 통해 아태 지역 13개국 1308명의 부유층 투자자(mass affluent investors)를 인터뷰한 결과다. 부유층 투자자(mass affluent investors)는 ‘가처분자산 또는 투자자산 미화 10만 달러 이상을 보유한 만30세 이상의 개인'을 가리킨다고 ING는 설명했다.

한경닷컴 김하나 기자 ha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