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개통된 가격공개 사이트가 네티즌들의 접속 폭주로 서버가 한때 다운되는 등 하루종일 북새통을 이뤘다.

소비자들의 높은 관심에 비해 인터넷 접속 용량이 턱없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주유소 종합정보 제공시스템(www.opinet.co.kr)은 이날 공식 개통된 오전 9시부터 접속자가 급속히 늘어나면서 사이트가 곧바로 다운됐다.

인터넷 사이트에 간신히 접속한 경우에도 속도가 너무 느려 분통을 터뜨리는 네티즌들이 많았다.

그 여파로 석유공사 자체 홈페이지(www.knoc.co.kr)와 석유정보망(www.petronet.co.kr)도 접속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직원들이 업무를 처리하는 데 애를 먹었다.

석유공사 관계자는 "공사 사이트는 분당 최대 70만명이 접속할 수 있는 설비를 갖추고 있으나 오전 9시 주유소 가격공개 사이트 개통 직후 순간적으로 30만명 이상이 동시에 접속해 사이트가 다운됐다"고 설명했다.

공사 측은 KT 측에 설비 복구와 함께 증설을 긴급 요청해 시스템을 정상화 시켰다.

인터넷 사이트에 게재된 주유소 가격이 틀렸다는 지적도 적지 않게 나왔다.

경기도 동두천의 한 주유소 휘발유 가격이 경기 북부지역에서 가장 낮은 ℓ당 1539원으로 표시됐으나 실제로는 ℓ당 1699원에 판매되고 있었다.

지식경제부 관계자는 "가격을 검증하는 시스템도 함께 가동하고 있으며 잘못 게재된 가격에 대해서는 그 원인을 찾아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현승윤 기자 hyuns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