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노원구에 원주민 재정착률을 80%까지 높인 재개발 아파트 단지가 등장할 전망이다.

그동안 노후지역 재개발을 하게 될 경우 원주민 재정착률은 30%를 밑도는 등 해당 지역 주민들의 주거환경을 개선해서 삶의 질을 높인다는 재개발의 당초 취지와는 상당히 거리가 있었다.

15일 서울시와 대한주택공사 노원구 등에 따르면 주공은 노원구 중계본동 30의3에 위치한 마지막 달동네 '104마을'(19만317㎡)을 2012년까지 대규모 주거단지(2639가구)로 재개발할 방침이다.


노원구 관계자는 "이곳은 1960년대 판자촌 정비사업으로 발생한 철거민이 대거 이주,정착한 서울의 마지막 남은 달동네"라며 "노후.불량주택이 밀집해 그동안 재개발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으나,올해 초 개발제한구역이 해제되면서부터 개발 움직임이 본격화됐다"고 설명했다.

이 지역은 무허가 건물이 난립한 데다 세입자 수가 전체 주민의 3분의 2에 달하는 등 재개발을 진행할 경우 기존 주민들의 대부분이 서울 외곽으로 쫓겨나야 할 신세였다.

서울시와 국토해양부는 이곳을 1종 일반주거지역(용적률 150%,4층 이하)에서 2종 일반주거지역(용적률 200%,12층 이하)으로 높여주는 대신 임대주택 건립 비율을 50%로 대폭 높였다.

현행법상 재개발 구역 내 임대주택은 전체 가구 수의 17%만 확보하면 된다.

따라서 전체 2639가구 가운데 1162가구(16평형 580가구,20평형 465가구,22평형 117가구)가 임대주택 물량으로 계획됐다.

나머지 1477가구(33평형 950가구,46평형 527가구)는 조합원이나 일반 분양을 통해 공급될 예정이다.

104마을 주민대표위원회의 박승배 부위원장은 "현재 이곳에 거주하는 세입자들은 모두 750가구(2227명)지만 임대주택 계획 물량은 이보다 412가구나 많기 때문에 원주민 재정착률을 최대 80%까지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부위원장은 또 "1200여명에 달하는 조합원도 최대한 입주가 가능하도록 주공과 협의,분담금을 적정 수준으로 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주공 관계자도 이와 관련,"공공기관에서 시행을 맡은 만큼 수익성보다는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재정착률 제고를 우선순위에 놓고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모델이 서울 시내 다른 재개발 지역에도 적용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서울시 주거정비과 관계자는 "이 지역은 재정착률을 높이고자 하는 주민들의 의지가 강한 데다 오랫동안 그린벨트로 묶여 있었기 때문에 용도지역을 높여준 것"이라며 "임대주택 비율을 재개발.재건축의 규제쯤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은 상황에서 이런 모델이 또 나오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