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은 산업은행과 우리은행,기업은행을 합쳐 초대형 금융지주회사를 만드는 이른바 '메가뱅크 방안'이 금융위원회의 '산업은행 민영화 방안'과 상치되는 것이 아니라면서 현재 금융위가 두 안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공기업 민영화 기본계획은 기획재정부에서 짜는 것이지만 한국전력 민영화에 대해 지식경제부의 의견을 존중해야 하듯이 산업은행 민영화 문제도 주무부처인 금융위의 의견을 존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 장관은 15일 기자 브리핑에서 "어떤 안을 만들면서 여러 사람의 의견을 듣고 열린 자세로 하면 되는 것이지 누구 소관이니,이미 방침이 정해졌느니 하는 것에 연연해선 안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날 이창용 금융위 부위원장과 전화통화를 한 사실을 소개하면서 "이 부위원장도 '(두 안이) 서로 상치되는 게 아니니까 두 안을 포함해서 방안을 검토한 뒤 얘기하겠다'고 했다"고 전했다.

강 장관은 "'메가뱅크' 방안은 대통령직 인수위 시절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에게 몇 차례 보고된 방안이었다"면서 "당시엔 메가뱅크가 아니라 '챔피언 뱅크'였다"고 말했다.

그는 "챔피언 뱅크의 개념은 꼭 산업은행을 그걸로 만든다는 것이 아니고,국민은행이든 우리은행이든 하나은행이든 누구든 챔피언 뱅크가 될 수 있는 것"이라며 "아시아에서 3위 경제권에 있는 우리나라에 한국물 신디케이션론을 할 때 리딩할 수 있는 대표 은행이 있어야 한다는 아이디어였다"고 설명했다.

최근 효과분석이 과장됐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계속 추진 여부를 놓고 논란이 벌어지고 있는 혁신도시 계획에 대해서는 "기획재정부 소관이 아니다"며 말을 아꼈다.

다만 "한나라당의 기조는 균형발전이 아니라 경쟁발전"이라며 "지방의 여건을 개선해서 전체 균형을 맞추겠다는 것이고,그래서 '5+2' '광역경제권' 등의 기본구상을 제시한 것"이라고 말해 혁신도시 계획에 대해 부정적인 뉘앙스를 흘렸다.

김인식 기자 sskis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