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방송 신호를 압축한 형태로 받아 TV 등 디스플레이에 전송하는 셋톱박스 기술을 빼돌려 중국으로 넘기려던 첨단기술 유출사범 11명이 경찰에 검거됐다.

우리나라 셋톱박스 수출은 세계시장의 20%인 1조1천억원 정도로 이 기술이 유출됐을 경우 향후 5년간 피해액이 1조5천억원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됐다.

16일 경기지방경찰청 외사과에 따르면 셋톱박스 개발.판매업체 A사의 조직관리부장으로 근무하던 김모(42)씨는 기술개발팀장이었던 최모(41)씨 등과 공모, 지난해 2월부터 3개월동안 셋톱박스 관련 핵심기술을 USB와 노트북에 몰래 담아 빼돌렸다.

이어 김씨 등은 A사를 퇴사한 뒤 같은 해 5월 B사를 설립, 중국현지 생산업체 C사에 이익금의 49%를 분배받기로 계약서를 체결하고 셋톱박스 기술을 넘기려 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은 국가정보원측으로부터 김씨 등의 범행에 대한 첩보를 받아 셋톱박스 시제품이 중국에서 만들어지기 직전 이들을 검거하고 이 중 B사 대표 김씨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하고 직원 10명을 불구속입건했다.

경찰 관계자는 "국내 2,3위권의 셋톱박스 업체인 A사의 기술이 중국 현지 회사에 넘어 갔을 경우 2~3년내에 국내 셋톱박스업계는 경쟁력을 상실해 줄도산할 위험에 처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업계에서는 "셋톱박스 기술 유출시 올해 국내업체의 수출예상액(1조5천억원)의 55%, 8천200여억원의 피해가 발생하고 향후 5년간 피해액은 1조5천원 이상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경찰에 검거된 김씨 등이 유출 시도한 A사의 셋톱박스 기술은 HD(고화질 영상 수신기), HD PVR(고화질 영상 저장 녹화기), DVB-T(지상파 디지털방송용 수신기), DVB-C(케이블 디지털 방송용 수신기) 등 11개 기술이다.

디지털뉴스팀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