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장 6월부터 공급할 예정이던 혁신도시 내 공동주택용지 공급이 전면 보류되고,혁신도시로 이전할 공공기관 심의마저 불투명해지는 등 혁신도시사업에 대한 혼선이 깊어지고 있다.

16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한국토지공사는 정부가 혁신도시 사업 재검토에 착수하면서 6월에 공급하려던 경북 대구 광주ㆍ전남 등 3개 혁신도시 내 공동주택용지 25개 필지,101만1066㎡(30만5846평)의 공급을 보류하기로 했다.

토공은 당초 이들 택지와 원주혁신도시 등을 포함해 연내 31개 필지 144만여㎡를 공급할 예정이었다.

따라서 이들 혁신도시 안에 들어설 아파트 등 주택 공급도 상당기간 늦춰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혁신도시 재검토 결과에 따라서는 주택 공급 규모 등 토지이용계획도 크게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 관계자는 "혁신도시 재검토 방안과 공기업 구조조정 문제 등에 대한 대안이 마련될 때까지 혁신도시 택지공급을 미루기로 했다"며 "택지 공급의 규모ㆍ일정 역시 정부 일정에 따라 조정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한주택공사의 경우 경남ㆍ충북ㆍ제주혁신도시 개발을 맡고 있지만 올해 공급계획이 없어서 공동주택용지는 없는 상태다.

혁신도시에서 공급할 예정인 주택 규모는 대구(신서) 9409가구를 비롯해 경북(김천),광주ㆍ전남(나주),강원(원주),충북(진천ㆍ음성),경남(진주),울산(우정),전북(전주ㆍ완주),부산(대연동 군수사 부지),제주(서귀포) 등 10곳에서 10만여가구에 이른다.

혁신도시로 이전할 공공기관들의 이전계획 심의도 불투명하다.

정부는 지난해 12월21일 토공 주공 한국전력 등 28개 기관에 대한 최종 이전계획을 균형발전심의위원회를 거쳐 통과시켰다.

나머지 공기업과 기관에 대해서는 올 상반기 중에 이전계획심의를 마칠 예정이었으나 정부조직 개편으로 균형발전위원회가 사실상 해산돼 정상 가동이 어렵다.

이에 따라 혁신도시 사업은 정부의 새 방침이 나올 때까지 겉돌 것으로 보인다.

한편 부산 영도구 동삼동 매립지에서는 이날 국토부 장관조차 불참한 가운데 '부산 혁신도시(동삼지구)' 착공식이 열렸다.

지난해 광주혁신도시 기공식 때 대통령까지 참석했던 것과는 대조적이었다.

또한 지난해 9월 1공구 공사에 들어간 김천혁신도시도 정부의 혁신도시 재검토 발표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이날 4공구 착공식을 강행했다.

김천혁신도시는 7월에 3공구,9월에 2공구를 착공할 예정이다.

김문권 기자 m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