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전남에 이어 경기도 평택에서도 AI(조류 인플루엔자)가 발생함에 따라 AI가 수도권을 비롯, 전국으로 확산(擴散)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사태가 이처럼 걷잡을 수 없게 번지고 있는 것은 AI가 처음 발생한 지 2주가 지났는데도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과 감염경로가 파악되지 않은 탓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초기 대응이 지나치게 안일했던 방역 당국의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

당국은 어제 전국 경보(警報) 수준을 '주의'에서 '경고'로 한 단계 올리고 방역 강화 등 적극 대응에 나섰지만 이 또한 뒷북을 친 것이나 다름없다.

AI가 발생할 경우 500m 이내 모든 가금류를 살처분하고 3㎞ 안에서는 이동을 금지하도록 되어있다.

그런데도 실제로는 이런 원칙이 전혀 지켜지지 않는 등 허술하기 이를데 없는 사후관리로 방역망이 완전히 뚫리고 말았기 때문이다.

전북 김제에서 지난 3일 최초로 고병원성 AI가 확인된 바로 다음날 해당 농가로부터 불과 1.7㎞ 떨어진 곳에서 유통업자가 오리 600마리를 사들여 전북 일대 6개 시ㆍ군에 판 것으로 밝혀졌다.

이 유통업자는 가금류 이동이 금지된 지역을 세 차례나 드나들었지만 한번도 제재를 받지 않았을 뿐 아니라,방역 당국은 일주일이 지나도록 오리 유출 사실마저 몰랐다고 하니 참으로 어처구니없는 일이다.

당국은 도대체 뭘 하고 있었는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

정부는 사태의 심각성을 뒤늦게 파악하고 AI 방역체계 상시 가동, 살처분 범위 확대,이동제한 조치 위반에 대한 처벌 강화 등 여러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고 있다는 비난을 면키 어렵다.

방역당국은 더 늦기 전에 AI의 추가 확산과 만약에 있을지도 모를 인체 감염(感染)을 막기 위해 총력체제에 돌입해야 함은 물론이다.

특히 AI 치료제인 타미플루가 변종에도 효과가 있는지, 충분한 수량은 확보되어 있는지 등을 철저히 점검해 사태가 더 이상 번지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지 않으면 안된다.

피해 축산농가에 대한 지원도 시가수매와 생계안정자금 지원 등 관련 보상기준에 정해진 것에만 국한할 것이 아니라 현장의 의견을 적극 수렴,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찾는데 행정력을 총동원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