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새 정부 '실용외교'의 첫 시험대인 부시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거둔 성과는 괄목(刮目)할 만하다.

무엇보다 그동안 소원했던 한ㆍ미 관계를 복원해 굳건한 동맹을 재구축하고,교착상태에 있는 한ㆍ미FTA(자유무역협정)의 비준을 앞당길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등 양국간 당면 현안으로 꼽혔던 거의 모든 의제에 대해 진전된 합의를 이끌어 냄으로써 상호 신뢰와 협력의 수준을 한층 높였다는 점에서 그렇다.

이번 정상회담에서 한ㆍ미동맹을 자유와 민주주의,인권,시장경제의 가치에 기반한 '21세기 전략동맹'으로 발전시키기로 한 것은,동맹의 개념을 새로 정립하고 미래지향적인 한ㆍ미 관계의 방향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 상징적 조치로 주한미군 감축을 중단키로 하고 한국의 미국산 무기구매국 지위 향상에 합의한 것만 보아도 알 수 있는 일이다.

특히 FTA와 관련해 미 의회의 조기 비준을 위한 돌파구를 마련한 것은 대표적 성과중의 하나이다.

이 대통령이 미 정부와 의회에 FTA 비준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한 데 이어,정상회담 직전 타결(妥結)된 한ㆍ미 쇠고기회담을 추동력으로 삼아 양국 정상이 의회 비준을 위해 최선을 다하기로 한 것이다.

6자회담 틀 내에서 북한 핵문제 해결을 위한 공조 원칙의 재확인과 비자면제 프로그램(VWP) 양해각서 체결 등 어느 것 하나 양국간 현안으로서 중요하지 않은 성과가 없다.

그 뿐만이 아니다.

이 대통령은 방미 기간중 한국투자포럼을 비롯해 미 경제계 주요인사 초청 간담회,경제단체와의 회동 등 '코리아 세일즈'에 주력함으로써 새 정부의 개방의지와 투자환경에 대해 외국인들이 확신을 갖게 한 것도 외국인 투자 촉진과 우리 경제의 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전기(轉機)가 될 만하다.

물론 이번 한번의 정상회담으로 양국간 문제가 한꺼번에 해소되기를 기대하는 건 무리다.

정상회담 성격상 대부분의 합의가 큰 틀만 제시됨으로써,앞으로의 후속 조치와 세부 조율과정에서 풀어야할 숙제 또한 적지 않다는 얘기다.

그런 만큼 이번 정상회담의 성과를 어떻게 구체화시킴으로써 동맹을 강화하고 FTA 비준을 앞당겨,우리 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인지 보다 정교하고 효과적인 대책을 강구하는 데 만전(萬全)을 기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것이 당면한 최우선 과제다.

이 대통령은 한ㆍ미 정상회담을 끝내고 어제 저녁 일본에 도착한 데 이어 오늘 후쿠다 일본 총리와의 한ㆍ일 정상회담과 경제단체 회동을 갖고 귀국한다.

한ㆍ일간 현안 또한 적지 않은 실정이고 보면 일본 기업들의 투자유치와 함께 기술협력을 확대하기 위한 보다 발전적이고 구체화된 성과를 거두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