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안정을 위해 긴축 정책을 고수하던 중국 정부가 21일 증시 부양책의 일환으로 비유통주에 대한 물량 규제안을 내놓았다.

하지만 21일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1%에도 미치지 못하는 소폭의 상승세에 그쳤고, 22일 오전엔 1% 넘게 하락하는 부진을 기록하고 있다. 오전 10시50분 현재 상하이종합지수는 3.4% 급락 중이다.

최근 중국 증시의 조정이 긴축 우려와 함께 비유통주의 물량 부담에 따른 것이었다는 점에서 이번 조치는 단기적으로 긍정적인 뉴스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장기적인 물량 부담은 여전하다는 점에서 주식시장의 미지근한 반응이 이해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신영증권 이승우 연구원은 "중국 증시의 기술적 반등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져 있는 상황이라는 점 등에서 비유통주 거래 시스템의 개선은 투자심리에 긍정적일 수 있다"면서도 "하지만 올 한해 동안만 2조5000억 위안의 비유통주가 해제될 예정이라는 점 등에서 부담은 여전하다"고 말했다.

향후 2년간 출회될 물량만도 각각 6조 위안을 넘을 것이라면서 손바닥으로 해를 가리긴 힘들다고 비유했다.

이 연구원은 "상장 주식 가운데 1% 이상의 비유통주를 매매할 경우 블록딜 방식을 이용토록 했지만 1% 이하 물량은 언제든 출회 가능하다면 이번 조치의 실효성에도 의문이 제기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이번 대책은 주가의 하락을 막아보려는 중국 정부의 의지를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 연구원은 "비록 지금은 고육지책일 수 있지만 중국 정부가 앞으로도 추가적인 증시 안정 대책을 내놓을 수 있다는 점은 주목할만 하다"고 말했다.

우리투자증권도 "그 효과에 대해선 의문이 남지만 적어도 타이밍상으로는 적절한 조치였다"고 평가했다.

조만간 QFII(적격 외국인투자자)가 확대 시행될 경우 QFII 신규 승인으로 수요가 늘어나는 가운데 비유통주 규제책으로 공급물량 부담을 제한하면서 증시에 숨통을 틔어줄 수 있다는 판단이다.

증시 반응은 미미했지만 일단 중국 정부의 스탠스가 시장 우호적으로 변했다는 점이 중요하다고 지적.

증시 부양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의지가 증시 회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면서 중국 증시에 대한 관심과 중국 관련주에 대한 관심을 유지하라고 조언했다.

한경닷컴 강지연 기자 sere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