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상식 ABC] 버스의 '파워핸들'이 자동차 속으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핸들 정식명칭 '스티어링 휠' … 미세한 조작이 주행 편안하게
자동차를 탄 운전자가 차량의 방향을 바꾸기 위해 좌우로 움직이는 원형의 틀을 무엇이라고 부를까?
대부분은 '핸들'이라고 대답할 것이다.
하지만 '핸들'은 정확한 명칭이 아니다.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이 정확한 명칭이다.
거칠게나마 우리말로 바꾸면 '조향틀' 정도가 될 것이다.
스티어링 휠을 포함해 방향 전환과 관련한 부품군을 가리켜 '스티어링 시스템'이라고 부른다.
'방향을 잡아주는 장치'라는 뜻이다.
초기 자동차는 3륜 차량 앞바퀴에 자전거형 손잡이를 직접 연결한 조향장치를 사용했다.
1890년대 접어들면서 양쪽 앞바퀴의 회전각 차이를 이용한 현대적 조향장치가 개발돼 차량 회전을 혁신적으로 개선했다.
이와 함께 둥그런 스티어링 휠과 조향 기어도 적용되기 시작했다.
1950년대에는 조향장치의 능력을 한 단계 발전시킨 방식이 개발된다.
조향 동력을 엔진에서 얻어 유압으로 조작하는 파워스티어링 방식이 바로 그것이다.
적은 힘으로도 스티어링 휠을 쉽게 돌릴 수 있게 해주는 이 방식을 아직도 많은 운전자들은 '파워 핸들'이라고 부른다.
엔진으로 유압펌프를 구동해 유압을 저장해 두고,스티어링 샤프트가 회전하면 그 끝에 달린 유압밸브가 열려 피스톤으로 앞바퀴 구동축의 방향을 바꾸는 힘을 돕도록 되어 있다.
개발 초기에는 대형 승용차나 트럭,버스로 사용 범위가 제한적이었다.
1960년대 차체 앞부분이 무거운 전륜구동 자동차가 보급되면서 소형 대중차에도 장착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스티어링 휠이 너무 가벼워지자 고속으로 주행할 경우 작은 충격에도 심하게 조향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그래서 나온 기술이 '속도 감응형 유압 조향장치'다.
이 장치는 말 그대로 속도에 따라 유압을 조정해 저속에서는 스티어링 휠을 가볍게,고속에서는 무겁게 반응하도록 만들어 준다.
그러나 장치가 무겁고 가격이 비싸 주로 중대형 자동차에 장착됐다.
하지만 '필요는 발명의 어머니'라는 말처럼 이런 단점을 극복한 기술이 개발되기 시작했다.
유압이 아닌 전기로 스티어링 휠을 제어하기 시작한 것이다.
현대모비스가 2006년 국산화 개발에 성공해 양산하고 있는 '전동식 조향장치(MDPS.Motor-Driven Power Steering)'가 바로 그것이다.
이 장치는 최근 큰 인기를 끌고 있는 현대자동차의 신형 아반떼에 숨어 있다.
차량 주행 조건에 따라 운전자가 최적의 조향 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도와줄 뿐 아니라 인공지능 역할을 하는 전자제어 장치와 운전자의 미세한 핸들 조작도 감지할 수 있는 최첨단 광학식 센서를 통해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특징이 있다.
'전동식 조향장치'는 벨트 대신 자동차의 발전기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필요할 때만 모터를 작동하기 때문에 연비도 3~5% 향상된다. 유류비로 환산하자면 연간 10만~15만원 절약되는 셈.
자동차 부품기술의 발전은 운전자에게 더 큰 운전의 재미를 선사한다.
전동식 조향장치를 뛰어넘는 첨단 조향장치의 개발을 기다리는 것도 운전자의 작은 기쁨일 것이다.
자동차를 탄 운전자가 차량의 방향을 바꾸기 위해 좌우로 움직이는 원형의 틀을 무엇이라고 부를까?
대부분은 '핸들'이라고 대답할 것이다.
하지만 '핸들'은 정확한 명칭이 아니다.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이 정확한 명칭이다.
거칠게나마 우리말로 바꾸면 '조향틀' 정도가 될 것이다.
스티어링 휠을 포함해 방향 전환과 관련한 부품군을 가리켜 '스티어링 시스템'이라고 부른다.
'방향을 잡아주는 장치'라는 뜻이다.
초기 자동차는 3륜 차량 앞바퀴에 자전거형 손잡이를 직접 연결한 조향장치를 사용했다.
1890년대 접어들면서 양쪽 앞바퀴의 회전각 차이를 이용한 현대적 조향장치가 개발돼 차량 회전을 혁신적으로 개선했다.
이와 함께 둥그런 스티어링 휠과 조향 기어도 적용되기 시작했다.
1950년대에는 조향장치의 능력을 한 단계 발전시킨 방식이 개발된다.
조향 동력을 엔진에서 얻어 유압으로 조작하는 파워스티어링 방식이 바로 그것이다.
적은 힘으로도 스티어링 휠을 쉽게 돌릴 수 있게 해주는 이 방식을 아직도 많은 운전자들은 '파워 핸들'이라고 부른다.
엔진으로 유압펌프를 구동해 유압을 저장해 두고,스티어링 샤프트가 회전하면 그 끝에 달린 유압밸브가 열려 피스톤으로 앞바퀴 구동축의 방향을 바꾸는 힘을 돕도록 되어 있다.
개발 초기에는 대형 승용차나 트럭,버스로 사용 범위가 제한적이었다.
1960년대 차체 앞부분이 무거운 전륜구동 자동차가 보급되면서 소형 대중차에도 장착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스티어링 휠이 너무 가벼워지자 고속으로 주행할 경우 작은 충격에도 심하게 조향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그래서 나온 기술이 '속도 감응형 유압 조향장치'다.
이 장치는 말 그대로 속도에 따라 유압을 조정해 저속에서는 스티어링 휠을 가볍게,고속에서는 무겁게 반응하도록 만들어 준다.
그러나 장치가 무겁고 가격이 비싸 주로 중대형 자동차에 장착됐다.
하지만 '필요는 발명의 어머니'라는 말처럼 이런 단점을 극복한 기술이 개발되기 시작했다.
유압이 아닌 전기로 스티어링 휠을 제어하기 시작한 것이다.
현대모비스가 2006년 국산화 개발에 성공해 양산하고 있는 '전동식 조향장치(MDPS.Motor-Driven Power Steering)'가 바로 그것이다.
이 장치는 최근 큰 인기를 끌고 있는 현대자동차의 신형 아반떼에 숨어 있다.
차량 주행 조건에 따라 운전자가 최적의 조향 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도와줄 뿐 아니라 인공지능 역할을 하는 전자제어 장치와 운전자의 미세한 핸들 조작도 감지할 수 있는 최첨단 광학식 센서를 통해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특징이 있다.
'전동식 조향장치'는 벨트 대신 자동차의 발전기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필요할 때만 모터를 작동하기 때문에 연비도 3~5% 향상된다. 유류비로 환산하자면 연간 10만~15만원 절약되는 셈.
자동차 부품기술의 발전은 운전자에게 더 큰 운전의 재미를 선사한다.
전동식 조향장치를 뛰어넘는 첨단 조향장치의 개발을 기다리는 것도 운전자의 작은 기쁨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