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종목을 선택하는 기준 4가지..유망주 12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삼성증권은 시장의 흐름을 주도할 수 있는 최고의 포트폴리오 종목 선정 조건을 제시하고, 그에 맞는 업종과 종목을 추천했다.
24일 이 증권사 전종규 연구원은 "유망 포트폴리오 선정에 있어 중요한 기준은 실적과 가격 매력, 전방환경, 기업의 가격 결정력"이라고 밝혔다.
그는 먼저 실적은 서류전형과 같은 것이라면서, 중장기 실적과 주가 모멘텀은 동행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조선과 기계, 철강이 그랬던 것처럼 올해는 IT와 자동차가 높은 실적 개선과 함께 시장의 주도주가 될 수 있는 자격을 갖췄다고 평가.
실적 턴어라운드가 기대되는 종목들이 주도주 교체의 첫번쨰 조건이라면서 LG와 LG전자, 제일모직, 현대건설, 현대모비스, 현대차 등을 꼽았다.
이어 전 연구원은 "가격 매력을 보유한 주식은 크게 낙폭 과대주와 저평가 가치주로 나눌 수 있는데 낙폭 과대주의 경우 올해 실적과 전방환경이 우호적인 종목을 중심으로 옥석 가리기에 나서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POSCO나 한화, 대림산업, 한국타이어, 오리온 등이 유망 종목으로 가시권에 들어온다.
가치대비 저평가주의 경우 올해 큰 폭의 실적 턴어라운드가 기대되는 잘나가는 종목들이 이름을 올리고 있어 추가 상승 여력을 기대할 수 있고, 자산가치 대비 저평가돼 있는 은행과 보험, 제지 등에도 관심이 필요하다고 조언.
LIG손해보험과 현대모비스, 한라공조, 한솔제지, 신한지주, SK, 현대제철, LG전자 등이 여기에 속한다.
다음으로 실적과 주가 상승을 견인하는 동력이 되는 전방 환경의 경우 정부 정책의 변화와 고유가, 환율, 인플레이션, 소비패턴의 변화 등을 다양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전 연구원은 "신정부의 정책 환경에 수혜가 기대되는 기업들을 먼저 선점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라면서 국토개발 수혜주와 금융규제완화 수혜주, 교육 및 미디어주에 주목하라고 권고했다.
현대건설과 한국가스공사, SBS, 메가스터디 등이 대표적이다.
고유가와 인플레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개발과 대체에너지를 포함한 필수 소비재, 우량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에 투자하는 전략이 유효하다. 원화 약세의 경우 IT와 자동차 등 수출주에 긍정적인 변수들이다.
마지막으로 전 연구원은 "상품가격 폭등과 금리인하, 달러약세 등의 복합적인 요인으로 제품 단가의 상승 압력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라는 점에서 제품가격의 결정권을 가지고 있는 기업에 투자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가격 결정권에서 우위를 가지기 위해서는 과점 형태의 시장 지배력을 보유하거나 업계내 구조조정에 따른 공급우위로의 전환, 수요량 급증에 따른 수급 부족 등이 필요하다고 설명.
가격 결정력을 보유한 대표적인 종목으로 POSCO와 현대제철, CJ제일제당, 오리온, KT&G, 삼성전자, 동양제철화학, 남해화학 등을 들었다.
전 연구원은 "철강과 조선, 해운, 기계 등 중국 관련주로 대표되는 기존 주도주들은 중국 소비시장의 확대와 위안화 절상의 수혜가 가능한 IT와 자동차, 중국내 소비업종 등으로 세대교체될 것"이라고 밝혔다.
새로운 주도주로 떠오르고 있는 IT와 자동차의 경우 재평가가 지속될 전망이며, 건설과 금융, 에너지, 제약, 내수 등도 4가지 조건들을 충족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런 점들을 모두 감안해 ▲삼성전자 ▲LG ▲현대차 ▲현대모비스 ▲현대건설 ▲삼성화재 ▲신한지주 ▲SK에너지 ▲POSCO ▲LS전선 ▲제일모직 ▲오리온을 올해 유망 포트폴리오 종목으로 추천했다.
한경닷컴 강지연 기자 serew@hankyung.com
24일 이 증권사 전종규 연구원은 "유망 포트폴리오 선정에 있어 중요한 기준은 실적과 가격 매력, 전방환경, 기업의 가격 결정력"이라고 밝혔다.
그는 먼저 실적은 서류전형과 같은 것이라면서, 중장기 실적과 주가 모멘텀은 동행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조선과 기계, 철강이 그랬던 것처럼 올해는 IT와 자동차가 높은 실적 개선과 함께 시장의 주도주가 될 수 있는 자격을 갖췄다고 평가.
실적 턴어라운드가 기대되는 종목들이 주도주 교체의 첫번쨰 조건이라면서 LG와 LG전자, 제일모직, 현대건설, 현대모비스, 현대차 등을 꼽았다.
이어 전 연구원은 "가격 매력을 보유한 주식은 크게 낙폭 과대주와 저평가 가치주로 나눌 수 있는데 낙폭 과대주의 경우 올해 실적과 전방환경이 우호적인 종목을 중심으로 옥석 가리기에 나서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POSCO나 한화, 대림산업, 한국타이어, 오리온 등이 유망 종목으로 가시권에 들어온다.
가치대비 저평가주의 경우 올해 큰 폭의 실적 턴어라운드가 기대되는 잘나가는 종목들이 이름을 올리고 있어 추가 상승 여력을 기대할 수 있고, 자산가치 대비 저평가돼 있는 은행과 보험, 제지 등에도 관심이 필요하다고 조언.
LIG손해보험과 현대모비스, 한라공조, 한솔제지, 신한지주, SK, 현대제철, LG전자 등이 여기에 속한다.
다음으로 실적과 주가 상승을 견인하는 동력이 되는 전방 환경의 경우 정부 정책의 변화와 고유가, 환율, 인플레이션, 소비패턴의 변화 등을 다양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전 연구원은 "신정부의 정책 환경에 수혜가 기대되는 기업들을 먼저 선점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라면서 국토개발 수혜주와 금융규제완화 수혜주, 교육 및 미디어주에 주목하라고 권고했다.
현대건설과 한국가스공사, SBS, 메가스터디 등이 대표적이다.
고유가와 인플레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개발과 대체에너지를 포함한 필수 소비재, 우량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에 투자하는 전략이 유효하다. 원화 약세의 경우 IT와 자동차 등 수출주에 긍정적인 변수들이다.
마지막으로 전 연구원은 "상품가격 폭등과 금리인하, 달러약세 등의 복합적인 요인으로 제품 단가의 상승 압력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라는 점에서 제품가격의 결정권을 가지고 있는 기업에 투자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가격 결정권에서 우위를 가지기 위해서는 과점 형태의 시장 지배력을 보유하거나 업계내 구조조정에 따른 공급우위로의 전환, 수요량 급증에 따른 수급 부족 등이 필요하다고 설명.
가격 결정력을 보유한 대표적인 종목으로 POSCO와 현대제철, CJ제일제당, 오리온, KT&G, 삼성전자, 동양제철화학, 남해화학 등을 들었다.
전 연구원은 "철강과 조선, 해운, 기계 등 중국 관련주로 대표되는 기존 주도주들은 중국 소비시장의 확대와 위안화 절상의 수혜가 가능한 IT와 자동차, 중국내 소비업종 등으로 세대교체될 것"이라고 밝혔다.
새로운 주도주로 떠오르고 있는 IT와 자동차의 경우 재평가가 지속될 전망이며, 건설과 금융, 에너지, 제약, 내수 등도 4가지 조건들을 충족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런 점들을 모두 감안해 ▲삼성전자 ▲LG ▲현대차 ▲현대모비스 ▲현대건설 ▲삼성화재 ▲신한지주 ▲SK에너지 ▲POSCO ▲LS전선 ▲제일모직 ▲오리온을 올해 유망 포트폴리오 종목으로 추천했다.
한경닷컴 강지연 기자 sere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