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村 르네상스] 북촌의 어제와 오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북촌은 조선시대 한양의 중심부인 경복궁과 창덕궁 사이에 자리잡았다.
예로부터 권세가들의 주거지로 자리매김해 왔다.
1906년 호적자료에 따르면 북촌 전체 인구 1만241명(1932가구) 중 양반과 관료의 비중은 무려 43.6%에 달했다.
하지만 일제강점기 도시로 인구가 집중됨에 따라 주택난이 가중되면서 중대형 한옥이 점차 사라지고 필지가 작게 분할돼 소규모 한옥들이 집중적으로 건설되기 시작했다.
게다가 유리와 타일 등 새로운 재료가 도입되고 평면이 표준화되면서 이전 시기와는 다른 형태의 한옥들이 우후죽순 들어섰다.
해방 이후 1960년까지만 해도 상류층이 주로 모여살았다.
1970년대 강남 개발이 본격화되면서 거주 계층과 주변 환경에 변화가 일기 시작했다.
특히 정부에서 공공주도의 일방적인 한옥보전 정책을 고수하면서도 북촌길 확장 등을 위해 되레 한옥을 철거하는 등 주민들의 불만과 불신이 가중되기도 했다.
오히려 1990년대 들어와서는 규제가 대폭 완화돼 한옥 대신 다세대 주택이 대거 들어서는 등 난개발이 가속화됐다.
서울시는 2001년 북촌전담조직까지 신설하면서 본격적으로 북촌 보존에 나섰다.
2006년 북촌 장기발전구상이 수립됐고 최근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지정하기로 하는 등 북촌을 세계적인 관광명소로 발돋움시키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