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취임 후 처음으로 어제 주요 그룹 총수 등 기업인들을 청와대로 초청,'투자활성화 및 고용창출을 위한 민관합동회의'를 갖고 경제살리기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재계는 올해 30대그룹의 투자를 97조원으로 지난해보다 30% 가까이 늘리고 고용은 18.3% 증가한 7만7500명을 신규 채용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 대통령은 기업들에 보다 공격적인 경영을 주문하면서 "정부는 기업이 투자불편을 해소하는 도우미 역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 "기업들의 의욕적인 투자 계획이 빨리 시작되기를 바란다"며 "정부가 일관되게 좌고우면하지 않고 왔다갔다 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대통령과 재계 대표들이 만나 경제동향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경제활성화 대책을 함께 모색한 것만으로도 경제활력 회복의 새로운 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의미를 갖고 있다.

물론 이것만으로 경제 활성화를 기대하기는 난망이다.

안팎의 여건이 너무 좋지 않고 기업투자의 발목을 잡아온 핵심 규제도 여전히 상존하고 있는 까닭이다.

경제여건만 해도 성장속도 둔화,원자재 및 물가 급등,소비 위축,고용 악화 등으로 경기가 이미 하강국면에 있다는 정부 측 진단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결국 기댈 곳은 기업투자의 확대밖에 없는 실정이고 보면 이를 위한 보다 특단의 대책이 나와야 한다는 얘기다.

기업투자 활성화의 전제 조건이 대기업 규제의 획기적인 개혁임은 더 이상 강조할 필요도 없다.

기업환경개선이 선행되지 않고는 대기업들의 투자확대 계획도 자칫 공염불이 될 공산이 큰 것 또한 당연하다.

따라서 당장은 이 같은 투자계획이 차질 없이 이뤄질 수 있도록 규제 철폐의 드라이브를 거는 것이 최우선 과제다.

투자 애로를 즉각적이고 집중적으로 해소함으로써 가시적인 투자성과를 이끌어내는 것이 급선무다.

수도권 규제 등 법 개정이 필요한 사안의 투자환경 개선 작업도 속도를 높이지 않으면 안 된다.

나아가 이번과 같은 민관합동회의를 분기별로 정례화키로 한데 대한 기대 또한 적지않다.

지속적으로 투자 걸림돌 해소 대책을 모색하고 규제개혁의 성과를 점검하는 상시 협력시스템이 필요한 까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