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국 정부는 하이브리드카와 수소연료전지차 등 친환경차 개발과 보급 확대를 위해 총력 지원 체제를 구축한 지 오래다.

친환경차 시장을 선점하느냐 못하느냐에 자국 자동차산업의 미래가 걸려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미국은 하이브리드카를 구매하는 소비자에게 최대 3400달러,연료전지차를 구매하는 소비자에게 최대 1만2000달러의 세제 혜택을 연방 정부 차원에서 제공하고 있다.

이와 별도로 캘리포니아와 뉴욕주 정부 등은 최대 4000달러의 소득공제 혜택을 주고 있고 친환경차 운전자는 버스전용차선 진입,도심지 주차료 면제 등 각종 특전을 누릴 수 있다.

일본 정부는 1998년부터 하이브리드카와 일반 차량의 가격 차액 중 50%를 소비자에게 보조해 주고 있다.

여기에 취득세 2.2% 경감,1년간 자동차세 50% 감면,소득세 7% 특별공제 등의 혜택이 추가된다.

도요타와 혼다 등은 이 같은 정부 지원을 등에 업고 조기에 양산체제를 갖출 수 있었고 이는 지금의 글로벌 하이브리드카 시장선점으로 이어졌다.

연료전지차에 대한 지원은 더 과감하다.

하이브리드카에 비해 연료전지차가 개발 초기 단계에 있다는 점을 감안,획기적인 지원을 통해 초기 수요를 만들어냄으로써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조치다.

연료전지차를 구입하는 소비자는 일반 차량과 가격 차이가 나는 금액 중 3분의 2를 정부로부터 지원받고 차량 취득세의 2.7%를 감면받는다.

유럽 각국도 친환경차에 대해 각종 우대조치를 취하고 있다.

프랑스에서 하이브리드카를 사면 소득세에서 연간 1525유로를 공제받을 수 있고 이탈리아 정부는 하이브리드카 한 대당 1800유로의 구매 보조금을 지원한다.

영국 정부는 하이브리드카 운전자에게 차량 보유세 감면,교통혼잡세 면제,법인차량 세금 감면 등의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중국과 인도 등 후발 자동차공업국도 예외는 아니다.

중국 정부는 2005년 4~5종의 하이브리드 승용차와 4종의 전기차,연료전지차를 개발하겠다는 정책 목표를 세우고 2012년까지 1억6500만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

또 공해물질 배출이 많은 자동차에 불리하도록 관련 세제를 개편,자국 자동차 업체들이 친환경차 개발에 나서도록 유도하고 있다.

인도 정부는 2020년까지 2500억루피를 투자,자국 내에서 100만대 이상의 연료전지차가 달릴 수 있도록 하겠다는 정책 목표를 세웠다.

이에 반해 한국은 공공기관이 하이브리드카를 구입할 때 휘발유차와의 가격차를 일부 보전해주는 지원책이 거의 전부다.

하지만 이마저도 공공기관 등의 무관심으로 인해 겉돌고 있다.

현대ㆍ기아차는 2004년 클릭 하이브리드 시범생산을 시작한 뒤 지난해까지 4년간 공공기관과 지방자치단체에 겨우 1386대를 팔았을 뿐이다.

일반 소비자의 경우 정부 차원의 구매비 보조가 아예 없다.

이에 따라 자동차업계는 친환경차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하이브리드카 등에 대한 구매비 보조는 물론 자동차 취ㆍ등록세 면제 등의 획기적 지원책을 서둘러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여전히 부처협의가 필요하다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