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서민주택 수급 불균형을 완화시키기 위해선 뉴타운·재개발·단독주택재건축 구역의 추가 선정을 자제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정치권의 요구대로 뉴타운을 계속 추가하다 보면 서민주택의 멸종 시기가 더욱 앞당겨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태가 양호한 단독주택지,보존 가치가 높은 한옥촌 등은 그대로 놔두고 정비가 필요한 곳도 무작정 밀어버리는 것보다 가능하면 보수하는 쪽으로 방향을 돌리라는 주문이다.

이는 주거 유형의 다양화 측면에서도 꼭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아파트로 획일화된 경관은 도시 미관을 떨어뜨려 궁극적으로 서울의 도시 경쟁력을 악화시킨다.

따라서 재개발이 이뤄지더라도 테라스형 고층형 저층형 등으로 유형을 다양화하고,구릉지는 경관 보호를 위해 저층 단지 위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뉴타운 추가 지정이 불가피한 경우가 있다고 하더라도 한꺼번에 지정하는 것보다 시차를 두고 하나씩 지정하는 것이 집값에 미치는 영향이 작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이미 뉴타운·재개발이 확정된 지역의 경우 시기 조정을 통해 멸실과 이주가 한꺼번에 몰리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주문도 많다.

그러나 지금처럼 사업허가권이 주민 민원과 표를 의식할 수밖에 없는 구청장에게 있는 한 시기 조정이 이뤄질 가능성은 낮다.

따라서 정부나 광역자치단체 차원에서 강제적으로 시기 조정에 나서는 것도 고려해 볼 만하다.

역세권 고밀도 개발 등을 통해 서민용 임대주택을 획기적으로 늘리는 것도 서민 주거 안정에 도움이 된다고 보고 있다.

이상영 부동산114 사장은 "서울시가 역세권 고밀도 개발 등을 통해 장기전세주택을 늘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지만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는 게 문제"라며 "공급 대책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과도한 추가 개발은 자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성근 기자 trut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