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질서가 국가경쟁력이다] 찾아가는 시민법률학교…주민의견 반영해 설계된 '맞춤형 학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찾아가는 시민법률학교'는 철저히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해 설계되는 '맞춤형 학교'다.
강남구청에서 이날 강의주제로 부동산 경매, 상속ㆍ유언을 선정한 것도 '부자' 구민들의 최대 관심사를 반영한 결과다.
강의 시간이나 간식 등 먹거리,음악회 등 볼거리를 제공할지 여부 역시 구청의 자체 결정사항이다.
대한변협이 서초동 변호사회관에서 진행하는 '브런치 시민법률학교'가 점심식사비와 교재비 등 비용으로 1만원의 참가비를 받지만 대부분의 구청은 참가비를 받지 않을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참가비가 무료인 만큼 참가자격도 물론 제한이 없다.
대한변협과 한국경제신문사는 기초질서를 확립하고 일상생활과 밀접한 법률상식을 확산한다는 게 이번 행사의 취지인 만큼 자영업자나 가정주부뿐 아니라 대학생,구직자 등 다양한 계층에서 적극 참여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서울에서는 강남구청에 이어 마포구청과 성북구청이 6~7월 중으로 '찾아가는 시민법률학교'를 열 예정이다.
노원ㆍ동대문ㆍ은평ㆍ용산 등 10여개 구청은 이날 강남구청 강의를 들어본 후 결정키로 했으며, 인천광역시와 수원 등 경기도 내 구청들도 적지않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구청 측은 구민들의 수요를 철저히 조사한 뒤 신청 여부 등을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마포구청 관계자는 "과거 같은 동원이나 일회성 강좌는 이제 통하지 않는다"며 "최대한 구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구민들의 입맛에 맞는 강의주제를 선정하겠다"고 말했다.
강사 변호사는 대한변협에서 관련 분야 최고 전문가들을 초빙한다.
대한변협은 구청마다 다양한 분야의 강의를 요청할 것을 감안해 종합부동산세 등 세금,이혼,임대차,의료사고,교통사고,재테크 등 분야의 전문 변호사들을 섭외해놨다.
이날 사회를 본 이상석 대한변협 인권이사는 "강의가 끝난 뒤에도 참석자들이 강사를 놓아주질 않았다"며 "강의능력이 탁월할 뿐 아니라 10년 이상 변호사 경력으로 관련 분야에서 특화된 전문성이 꼭 필요하다"고 전했다.
김병일 기자 kbi@hankyung.com
강남구청에서 이날 강의주제로 부동산 경매, 상속ㆍ유언을 선정한 것도 '부자' 구민들의 최대 관심사를 반영한 결과다.
강의 시간이나 간식 등 먹거리,음악회 등 볼거리를 제공할지 여부 역시 구청의 자체 결정사항이다.
대한변협이 서초동 변호사회관에서 진행하는 '브런치 시민법률학교'가 점심식사비와 교재비 등 비용으로 1만원의 참가비를 받지만 대부분의 구청은 참가비를 받지 않을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참가비가 무료인 만큼 참가자격도 물론 제한이 없다.
대한변협과 한국경제신문사는 기초질서를 확립하고 일상생활과 밀접한 법률상식을 확산한다는 게 이번 행사의 취지인 만큼 자영업자나 가정주부뿐 아니라 대학생,구직자 등 다양한 계층에서 적극 참여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서울에서는 강남구청에 이어 마포구청과 성북구청이 6~7월 중으로 '찾아가는 시민법률학교'를 열 예정이다.
노원ㆍ동대문ㆍ은평ㆍ용산 등 10여개 구청은 이날 강남구청 강의를 들어본 후 결정키로 했으며, 인천광역시와 수원 등 경기도 내 구청들도 적지않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구청 측은 구민들의 수요를 철저히 조사한 뒤 신청 여부 등을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마포구청 관계자는 "과거 같은 동원이나 일회성 강좌는 이제 통하지 않는다"며 "최대한 구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구민들의 입맛에 맞는 강의주제를 선정하겠다"고 말했다.
강사 변호사는 대한변협에서 관련 분야 최고 전문가들을 초빙한다.
대한변협은 구청마다 다양한 분야의 강의를 요청할 것을 감안해 종합부동산세 등 세금,이혼,임대차,의료사고,교통사고,재테크 등 분야의 전문 변호사들을 섭외해놨다.
이날 사회를 본 이상석 대한변협 인권이사는 "강의가 끝난 뒤에도 참석자들이 강사를 놓아주질 않았다"며 "강의능력이 탁월할 뿐 아니라 10년 이상 변호사 경력으로 관련 분야에서 특화된 전문성이 꼭 필요하다"고 전했다.
김병일 기자 kb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