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정부기관에 공급될 하이브리드카(휘발유ㆍ전기 혼용차) 규모가 총 1830대로 당초 환경부가 계획했던 물량보다 100대 삭감됐다.

현대ㆍ기아자동차가 2005년부터 정부기관과 공공단체에 베르나와 프라이드의 하이브리드카를 공급하고 있지만,이 차량의 대기오염 절감 효과가 기대만큼 크지 않다는 이유로 국회가 심의 과정에서 공급량을 줄였다는 소식이다.

하이브리드카 공급 물량이 원래 계획보다 줄어든 건 올해가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에도 정부는 하이브리드카 1000대를 각급 기관과 공공단체에 보급할 계획이었지만 국회에서 관련 예산이 대폭 삭감돼 실제 공급량은 850대에 그쳤다.

업계 전문가들은 친환경차 부문을 선도하고 있는 선진국 기업들을 추격할 기회마저 놓쳐 버리게 됐다며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

상용화 전 단계에서 정부가 하이브리드카를 사들임으로써 기업의 개발비 부담을 덜어줘야 하는데,약속한 물량만큼도 사가지 않겠다고 하면 어느 기업이 막대한 비용 부담을 감수하고 기술 개발에 나서겠느냐는 것이다.

한국 정부의 친환경차 관련 예산은 작년과 올해를 합쳐 389억원에 불과하다.

매년 수천억원의 예산을 쏟아붓고 있는 미국과 일본 등에 비해 한참 모자란 규모다.

때마침 독일 BMW는 지난 6일부터 수소자동차 '하이드로겐7'을 한국으로 들여와 대학 총장과 외교관 등 사회 지도층 인사를 대상으로 시승행사를 열고 있다.

하이드로겐7은 오염 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첨단 친환경 차량이다.

BMW는 아직 구체적인 시판 계획도 잡혀 있지 않은 이 차량의 시승행사를 위해 경기도 이천에 있는 BMW코리아 물류센터에 임시 수소충전소까지 설치하는 등 열의를 보이고 있다.

언젠가는 석유를 대신할 대체에너지를 자동차 연료로 써야 하기 때문에 미리 기술을 개발,전세계를 다니며 시승행사 등 홍보 활동을 하고 있다는 것이 BMW 측의 설명이다.

당장 눈에 보이는 효과가 적다는 이유로 친환경차 관련 예산을 깎고 하이브리드카 보급을 줄인다면,수십년 앞을 내다보고 달려나가는 선진국과의 격차는 갈수록 더 벌어질 수밖에 없다.

유승호 산업부 기자 us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