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값 '高高' … 글로벌 대형 공사 잇단 차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치솟는 철강값이 세계의 건설과 조선,석유 산업 등에 전방위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대형 건설 프로젝트가 중단되고 일부 국가에서는 수출 통제와 철강산업 국유화까지 논의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6일 보도했다.
인도 뉴델리에서는 대형 교각 건설이 비용 증가로 사실상 중단됐다.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빈곤층 주택 확충계획도 고비용으로 난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인도 정부는 제철업계에 앞으로 3개월간 가격을 동결해 달라고 요구했다.
터키의 건설업협회는 철근 등 자재값이 두 배로 치솟자 철강 가격 인하를 요구하며 파업에 들어갔다.
1999년 대지진을 겪은 터키에서는 도시복구 작업이 아직까지 진행 중이지만 최근 자재값 부담으로 부실공사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WSJ는 지적했다.
강판 수요가 많은 조선업계도 철강값 급등으로 큰 타격을 입고 있다.
전문가들은 한국의 대우조선해양 등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조선업체들이 후판 재고 부족으로 제품 납기일을 지키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예상했다.
석유회사들은 시추용 드릴장비와 파이프값이 오르면서 유전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로열더치셸의 경영진은 지난달 미국 하원위원회에서 새로운 에너지 탐사가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고 증언하기도 했다.
국제 철강가격은 지난해 12월 이후 40~50% 급등했다.
세계 최대 철강사인 인도의 아르셀로미탈은 지난 14일 유럽 수출가격을 t당 120유로(20%) 인상했다.
락시미 미탈 최고경영자(CEO)는 "철강가격이 고점에 이르려면 아직 멀었다"며 "(철강) 생산 비용이 매달 치솟고 있다"고 설명했다.
철강의 원재료인 철광석 가격은 올 들어 71% 올랐고 부재료인 유연탄값도 두 배로 뛰었다.
이에 따라 각국은 대응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베네수엘라는 철강가격 통제를 위해 국내 최대 철강회사를 다시 국유화하는 방침을 세웠다.
이란도 가격 안정화를 위해 철강제품의 수입 관세를 높였다.
김유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
대형 건설 프로젝트가 중단되고 일부 국가에서는 수출 통제와 철강산업 국유화까지 논의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6일 보도했다.
인도 뉴델리에서는 대형 교각 건설이 비용 증가로 사실상 중단됐다.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빈곤층 주택 확충계획도 고비용으로 난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인도 정부는 제철업계에 앞으로 3개월간 가격을 동결해 달라고 요구했다.
터키의 건설업협회는 철근 등 자재값이 두 배로 치솟자 철강 가격 인하를 요구하며 파업에 들어갔다.
1999년 대지진을 겪은 터키에서는 도시복구 작업이 아직까지 진행 중이지만 최근 자재값 부담으로 부실공사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WSJ는 지적했다.
강판 수요가 많은 조선업계도 철강값 급등으로 큰 타격을 입고 있다.
전문가들은 한국의 대우조선해양 등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조선업체들이 후판 재고 부족으로 제품 납기일을 지키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예상했다.
석유회사들은 시추용 드릴장비와 파이프값이 오르면서 유전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로열더치셸의 경영진은 지난달 미국 하원위원회에서 새로운 에너지 탐사가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고 증언하기도 했다.
국제 철강가격은 지난해 12월 이후 40~50% 급등했다.
세계 최대 철강사인 인도의 아르셀로미탈은 지난 14일 유럽 수출가격을 t당 120유로(20%) 인상했다.
락시미 미탈 최고경영자(CEO)는 "철강가격이 고점에 이르려면 아직 멀었다"며 "(철강) 생산 비용이 매달 치솟고 있다"고 설명했다.
철강의 원재료인 철광석 가격은 올 들어 71% 올랐고 부재료인 유연탄값도 두 배로 뛰었다.
이에 따라 각국은 대응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베네수엘라는 철강가격 통제를 위해 국내 최대 철강회사를 다시 국유화하는 방침을 세웠다.
이란도 가격 안정화를 위해 철강제품의 수입 관세를 높였다.
김유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