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자금 유입 주춤…힘빠진 투신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내 주식형펀드 자금 유입이 주춤하자 투신권의 매수세가 눈에 띄게 약해졌다.
주요 펀드들의 주식 편입 비율도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23일 증권선물거래소에 따르면 이달 들어 투신권은 23일까지 1조6500억원 이상 순매도했다.
지난 2일과 13일,15일 등 사흘을 제외하고는 모두 순매도로 일관했다.
국내 주식형펀드로 유입되는 자금은 크게 줄고 환매 요청은 늘면서 투신권의 '실탄'이 부족해진 탓이다.
이달 들어 지난 21일까지 국내 주식형펀드 설정액은 1449억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에 따라 주요 국내펀드의 주식 편입 비율도 90%대 초반에서 정체 상태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의 국내 주식형 중 가장 규모가 큰 '디스커버리3'의 경우 지난 2월 말 이후 주식 비중은 92%대에 머물러 있다가 지난 21일 현재 90.6%로 소폭 낮아졌다.
한국투신운용의 '한국삼성그룹적립식주식1'은 올 들어 주식 비중이 91%대에서 변함이 없다.
하나UBS운용의 '퍼스트클래스에이스주식'과 CJ자산운용의 'CJ행복만들기주식1' 역시 4월 이후 주식 비중이 각각 91%대와 93%대를 유지하고 있다.
이원기 KB자산운용 대표는 "코스피지수가 1800 이상으로 상승한 이후 환매가 많아지면서 투신권의 매수 여력이 별로 없어졌다"며 "재상승에 대한 확신이 생기기까지는 당분간 소강상태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박해영 기자 bono@hankyung.com
주요 펀드들의 주식 편입 비율도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23일 증권선물거래소에 따르면 이달 들어 투신권은 23일까지 1조6500억원 이상 순매도했다.
지난 2일과 13일,15일 등 사흘을 제외하고는 모두 순매도로 일관했다.
국내 주식형펀드로 유입되는 자금은 크게 줄고 환매 요청은 늘면서 투신권의 '실탄'이 부족해진 탓이다.
이달 들어 지난 21일까지 국내 주식형펀드 설정액은 1449억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에 따라 주요 국내펀드의 주식 편입 비율도 90%대 초반에서 정체 상태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의 국내 주식형 중 가장 규모가 큰 '디스커버리3'의 경우 지난 2월 말 이후 주식 비중은 92%대에 머물러 있다가 지난 21일 현재 90.6%로 소폭 낮아졌다.
한국투신운용의 '한국삼성그룹적립식주식1'은 올 들어 주식 비중이 91%대에서 변함이 없다.
하나UBS운용의 '퍼스트클래스에이스주식'과 CJ자산운용의 'CJ행복만들기주식1' 역시 4월 이후 주식 비중이 각각 91%대와 93%대를 유지하고 있다.
이원기 KB자산운용 대표는 "코스피지수가 1800 이상으로 상승한 이후 환매가 많아지면서 투신권의 매수 여력이 별로 없어졌다"며 "재상승에 대한 확신이 생기기까지는 당분간 소강상태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박해영 기자 bon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