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조 보수'를 주창한 자유선진당과 '창조적 진보' 기치를 걸었던 창조한국당이 정책 연대 방식의 공동 원내교섭단체를 구성키로 합의해 그 배경과 향후 정국에 미칠 영향이 주목된다.

한나라당과 통합민주당은 정체성과 노선이 다른 양당 간의 제휴에 대해 '이상한 동거''야합'이라면서 맹비난하고 나섰다.

이회창 자유선진당 총재와 문국현 창조한국당 대표는 23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대운하 저지△검역주권과 국민의 건강권 확보가 전제된 미국산 쇠고기 수입△중소기업 활성화 등 3가지 안을 해결하기 위한 '3포인트 제한적 원내교섭단체 구성'에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양당의 연대는 의석 수가 부족한 현실의 벽을 깨기 위한 고육책의 성격이 강하다.

자유선진당은 지난 총선에서 교섭단체 구성요건인 20석에 2석 모자라는 18석을 확보하는 데 그쳤다.

이 총재는 이명박 대통령의 야당대표 초청 대상에서 배제되는 등 비교섭단체로서의 설움을 겪어야 했다.

창조한국당은 3석을 얻어 원내에는 진입했지만 비례대표 2번인 이한정 당선자가 허위 경력ㆍ학력 파문으로 구속되고 문국현 대표가 검찰수사를 받으면서 위기에 직면한 상황이다.

양당이 공동 교섭단체로 등록하면 무엇보다 주요 정책을 둘러싼 협상이나 법안처리 과정에서 캐스팅보트를 거머쥘 수 있다.

1∼2개의 상임위원장직을 노려볼 수 있으며 국회 몫으로 배정된 각종 인사권도 누릴 수 있다.

선진당과 한국당이 내친 김에 동거를 넘어 합당으로 진행할지도 관심이다.

합당할 경우 3분기 국고보조금이 총 15억400만원으로 3배가량 늘어난다.

다만 양측은 "현재 합당 논의는 전혀 하지 않았다"고 부인했다.

이에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는 의원총회에서 "정당 정치가 이렇게까지 타락해버렸나 하는 생각이 든다"면서 "자유후진당인지,또 후퇴 모방한국당인지 의심스럽다"고 비난했다.

김홍열 기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