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민주당과 자유선진당,민주노동당 등 야3당이 제출한 정운천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에 대한 해임 건의안이 23일 국회 본회의에서 부결됐다.
그것도 한나라당이 불참한 가운데서다.
야당의석이 151석이고 무소속을 포함해 149명이 투표했으나 찬성표는 140표에 그쳤다.
사실상의 반란표가 9표나 나왔다는 의미다.
후폭풍이 예상되는 이유다.
정 장관 해임건의안이 부결됨에 따라 당장 야당 지도부는 리더십에 치명타를 입게 됐고, 쇠고기 정국에 공동 대응해온 야권의 공조 약화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민주당의 경우 해임건의안 발의를 주도하고도 통과시키지 못한 지도부 책임론이 '발등의 불'로 떨어졌다.
당내 의견을 제대로 수렴하지도 않고 통과되지도 못할 해임 건의안을 무리하게 밀어붙였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자연 야당의 힘이 빠지면서 쇠고기정국의 국면이 전환될 개연성도 없지 않다.
일각에선 한·미 FTA 처리에 물꼬가 터지는 것 아니냐는 희망 섞인 낙관론도 나온다.
본회의가 끝난 뒤 한나라당이 한·미 FTA 비준동의안 처리를 위해 오는 26일부터 29일까지 임시국회 재소집을 요구키로 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조윤선 대변인은 "임시국회 소집 요구는 개회 3일 전에 해야 한다"면서 "오늘(23일) 요구해 26일부터 29일까지 국회를 열 것"이라고 말했다.
쇠고기 협상에 대한 문제를 정 장관의 해임동의안 부결로 일단락짓고 이제 현 정부 최대 현안인 FTA비준동의안 처리에 전념하겠다는 방향 전환이다.
한나라당 핵심 관계자는 야3당의 "(정 장관 해임건의안 부결에 대해) 17대 국회 다수당인 민주당이 다른 야당과 합세해 마지막 횡포를 부리려다 좌절된 것"이라면서 "이제 당면과제는 이번 국회 내에서 FTA비준동의안을 어떡하든 처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최재성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표결 직후 브리핑을 통해 "야당이 의회 내에서 제도적으로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다했지만 건의안이 부결돼 안타깝다.
역부족이었다"고 논평하면서 "임시국회 소집요구에 대해 민주당은 응하지 않을 것"이라고 못박았다.
강동균/이준혁 기자 rainbo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