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흐리는' 우선주 … 기업가치 상관없이 연일 급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우선주들이 기업가치와 무관하게 급등하는 사례가 끊이지 않아 주식시장을 흐린다는 지적이다.
증권선물거래소가 우선주에 대한 시장감시를 강화하겠다고 했지만 역부족인 상황이다.
특히 지난해 초 거래소는 우선주 등에 대한 매매 방식 변경 방안을 내놨지만 1년이 넘도록 실행되지 않고 있다.
25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지난 주말 코스피지수 약세를 틈타 우선주들이 다시 동반 급등했다.
신원우선주를 비롯해 대한펄프우선주 SH에너지화학우선주 이엔페이퍼우선주 동양철관우선주 남선알미늄우선주 등이 가격제한폭까지 치솟았다.
SH에너지화학의 경우 최근 엿새 동안 보통주가 10% 상승에 그친 반면 우선주는 하루 평균 거래량이 122주 밖에 안되는 속에서 연일 상한가를 기록,129%나 급등했다.
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가 지난 20일 우선주 이상급등에 대한 시장감시를 강화키로 경고했지만 약발은 거의 없었던 셈이다.
시장감시위 관계자는 "주가가 급등하는 우선주를 집중적으로 사들이는 투자자가 늘어나면서 경고 조치에도 불구하고 주가 왜곡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매매가 활발하지 않은 저유동성 종목에 대해서도 '연속경쟁매매' 방식이 적용되면서 나타나는 부작용이라고 지적한다.
매수 호가와 매도 호가가 크게 벌어지면서 나타난 기현상이란 얘기다.
거래소는 이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지난해 3월 저유동성 종목에 대한 관리방안을 발표했다.
유동성이 낮은 종목에 대한 매매 방식을 '연속경쟁매매'에서 '단일가경쟁매매'로 바꾸겠다는 것이다.
단일가경쟁매매는 장 마감 후 시간외거래와 같이 30분 단위로 호가를 받아 매매를 체결하는 방식이다.
거래소의 이 같은 방침에 대해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거래소와 충분한 논의를 거치지는 않았지만 상장 종목 차별에 대한 반발과 투자자 불만이 야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거래소 관계자는 "외국에선 일반적인 제도인 데다 유동성이 낮은 종목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면 유동성 공급 제도를 도입하는 기업이 늘어 투자자에게도 유리할 것"이라며 "금융위의 승인을 받아 상반기 내에 거래소 관련 규정 개정을 추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조진형 기자 u2@hankyung.com
증권선물거래소가 우선주에 대한 시장감시를 강화하겠다고 했지만 역부족인 상황이다.
특히 지난해 초 거래소는 우선주 등에 대한 매매 방식 변경 방안을 내놨지만 1년이 넘도록 실행되지 않고 있다.
25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지난 주말 코스피지수 약세를 틈타 우선주들이 다시 동반 급등했다.
신원우선주를 비롯해 대한펄프우선주 SH에너지화학우선주 이엔페이퍼우선주 동양철관우선주 남선알미늄우선주 등이 가격제한폭까지 치솟았다.
SH에너지화학의 경우 최근 엿새 동안 보통주가 10% 상승에 그친 반면 우선주는 하루 평균 거래량이 122주 밖에 안되는 속에서 연일 상한가를 기록,129%나 급등했다.
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가 지난 20일 우선주 이상급등에 대한 시장감시를 강화키로 경고했지만 약발은 거의 없었던 셈이다.
시장감시위 관계자는 "주가가 급등하는 우선주를 집중적으로 사들이는 투자자가 늘어나면서 경고 조치에도 불구하고 주가 왜곡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매매가 활발하지 않은 저유동성 종목에 대해서도 '연속경쟁매매' 방식이 적용되면서 나타나는 부작용이라고 지적한다.
매수 호가와 매도 호가가 크게 벌어지면서 나타난 기현상이란 얘기다.
거래소는 이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지난해 3월 저유동성 종목에 대한 관리방안을 발표했다.
유동성이 낮은 종목에 대한 매매 방식을 '연속경쟁매매'에서 '단일가경쟁매매'로 바꾸겠다는 것이다.
단일가경쟁매매는 장 마감 후 시간외거래와 같이 30분 단위로 호가를 받아 매매를 체결하는 방식이다.
거래소의 이 같은 방침에 대해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거래소와 충분한 논의를 거치지는 않았지만 상장 종목 차별에 대한 반발과 투자자 불만이 야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거래소 관계자는 "외국에선 일반적인 제도인 데다 유동성이 낮은 종목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면 유동성 공급 제도를 도입하는 기업이 늘어 투자자에게도 유리할 것"이라며 "금융위의 승인을 받아 상반기 내에 거래소 관련 규정 개정을 추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조진형 기자 u2@hankyung.com